-NTSB에 최종진술서 제출..”복합적 요소들이 상호작용해 발생”
[뉴스핌=김홍군 기자]아시아나항공이 지난해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발생한 자사 항공기 착륙 사고의 원인으로 조종사의 과실을 일부 인정했다. 더불어 항공기의 기체결함과 공항 관제시스템의 오류도 지적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달 17일(미국 현지시간) 미국교통안전위원회(NTSB)에 HL7742 사고와 관련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며 발생한 것”이라는 내용의 최종진술서를 제출했다고 1일 밝혔다.
아시아나는 진술서에서 “HL7742 항공기 운항승무원들은 충분한 훈련과 자격을 갖춘 운항승무원들임에도 불구하고 최종단계에서 비행속도 모니터링 및 최저안전속도 유지 실패 등 사고원인에 부분적으로 운항승무원의 과실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 배경에는 B777의 자동화 시스템이 특정조건에서 자동조정 기능이 제한되는 모순이 있었으며, 급격한 속도저하에 대한 항공기 경고음이 늦어 적시 회항이 힘들었고, 샌프란시스코공항의 과도한 관제 요구가 주요하게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는 최종진술서에서 향후 사고 재발방지를 위해 미연방항공청(FAA)과 보잉사에 이 같은 자동조정시스템의 맹점에 대한 명확한 정보 제공, 경고, 교육 등을 실시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했다.
최종진술서는 사고이해관계자들의 입장으로, NTSB는 이를 토대로 NTSB 위원회 회의를 거쳐 6월말 사고조사 최종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뉴스핌 Newspim] 김홍군 기자 (kiluk@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