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기자] 지난 45년간 선원송출을 통해 약 20조원에 육박하는 수입을 올린 벌어들인 선박관리업이 해운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1일 국토해양부는 지난 연말 국회를 통과한 '선박관리산업 발전법'이 시행되는 것을 계기로, 민·관 합동 일본시장 설명회를 오는 5일 도쿄에서 개최하며 본격적으로 일본 선박 유치에 나선다고 밝혔다.
외국적선 선원 송출 등에 따른 외화수입은 139억 달러며, 국적선 관리에 따른 원화 수입은 2조 4000억원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번 설명회에는 MOL, K-Line, NYK 등 일본의 선박회사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여하고, 특히 중의원 부의장인 에토 세이시로 의원, 일본 국토교통성 해사국장 등이 참석하는 등 정·관계에서도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리 측에서는 전기정 국토해양부 해운정책관 등 정부·지자체 관계자, 정영섭 선박관리협회 회장 등 협회 관계자 및 13개 선박관리업체가 참여할 예정이다.
정부와 업계는 이번 설명회에서 우리나라 선박관리업계가 일본과 유사한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선박관리 전문가가 일본어를 할 수 있는 언어적 장점을 갖고 있다는 점과 우리나라가 연간 1000명 이상의 해기사 공급 능력 등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이로써 인도·싱가폴 선박관리업계에 의존하고 있는 일본 선박회사의 관심을 유도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한편, 지난해 제정돼 시행령 제정 등 준비를 거쳐 1일부터 시행되는 선박관리산업 발전법은 선박의 소유(해운회사)와 관리(선박관리회사)가 분리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라는 점에 착안, 그동안 해운부대업에 머물던 선박관리업을 독자적인 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근거법이다.
국토부와 선박관리업계는 그동안 특별한 시설투자 없이 순전히 인력만으로 국가경제에 이바지해 온 선박 관리업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해 나가겠다고 다짐을 밝혔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올 하반기에 선박관리산업정책심의회를 구성, 중장기 선박관리산업 발전 종합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 "왕의 귀환" 주식 최고의 별들이 한자리에 -독새,길상,유창범,윤종민...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