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리인상시 재무건전성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뉴스핌=임애신 기자] 지난 2005~2008년까지 가계부채가 확대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가계부문의 재무건전성은 개선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18일 '가계부채 위험도에 대한 평가' 자료에서 "최근 소득대비 가계부채가 확대됐음을 고려할 때 가계부문 부채가 부채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구를 중심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밝혔다.
KDI가 미시자료를 활용한 가계부채의 분석 결과 소득대비 부채비율과 부채상환부담이 높은 고위험군 부채가구의 비중은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부채상환여력이 열악한 취약부채가구의 부실가능 부채규모도 전체 부채대비 감소하는 추세로 분석됐다.
부채보유 가구 중 80% 이상이 소득대비 부채상환비율이 25% 이하인 가구이며, 부채상환비율이 25% 또는 40%를 넘는 고위험가구의 비중도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DI의 김영일·임경묵 연구위원은 "이러한 분석결과는 2005~2008년 중 증가했던 가계부문 부채가 재무건전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가구를 중심으로 확대됐음을 시사한다"며 "재무건전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가구를 중심으로 부채가 확대됐음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KDI는 "가계의 채무상환 부담이 낮지 않은 수준이고 상당수 가구의 부채상환여력이 높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계부문 부채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영일·임경묵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가계부문 소득대비 부채비율이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했던 여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해 낮지 않은 수준"이라며 "최근에도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한 "향후 금리 인상시 가계의 부채상환 부담이 가중될 수 있음을 고려해 가계의 재무건전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임애신 기자 (vancouver@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