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미국 로스앤젤레스 로우스 할리우드 호텔에서 '유녹(U-KNOCK) 2025 in USA'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올해로 2년째를 맞은 이 사업은 일본(도쿄, 오사카), 싱가포르에 이어 미국에서 열린 네 번째 글로벌 투자 네트워크 행사로, K콘텐츠의 해외 투자 유치 기반을 확장하고 글로벌 산업 협력 생태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유녹 2025 in USA'는 우수한 스토리텔링과 지식재산(IP), 기술력을 지닌 K콘텐츠 기업을 북미 시장에 소개하고, 해외 투자자와의 실질적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 콘텐츠 기업 15개사와 미국 현지 투자사 및 제작사 관계자 100여 명이 참여했다.
![]()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5일 로우스 할리우드 호텔에서 열린 '콘텐츠금융포럼'에서 미국 유레카 프로덕션의 잔 아루주비아가(Jeanne Aruzubiaga), CJ ENM 김기웅 PD가 두 번째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콘진원] 2025.11.11 alice09@newspim.com |
참가 기업들은 11월 4일 미국의 대표 독립 제작사 'WIIP' 및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에이전시이자 투자사 'CAA'와 비즈니스 밋업을 진행해 양국 콘텐츠 산업 간 협력 방향과 공동 제작 및 투자 가능성을 논의했다.
5일에는 콘텐츠금융국제포럼이 열려 모팩스튜디오, CJ ENM, MBC, 더핑크퐁컴퍼니, 헬로82, 스튜디오리얼라이브 등 한국을 대표하는 콘텐츠 기업들이 참여했다.
기조연사로 나선 모팩스튜디오 장성호 대표는 '킹오브킹스'의 사례와 함께 'VFX' 및 버추얼 프로덕션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제작 모델을 발표했다.
이어 김기웅 CJ ENM 감독은 미국 유레카 프로덕션과 공동제작한 글로벌 음악 경연 시리즈 '케이팝드(K-Poped)' 제작 경험을 중심으로 케이팝 산업에 대한 이야기를 전했다.
이어지는 K콘텐츠의 성공 공식에 대한 발표에서는 박천휴 작가가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 새로운 콘텐츠를 창조하는 '크로스컬처(Cross Culture)'를, 스튜디오리얼라이브는 버추얼 캐릭터와 확장현실(XR) 기술을 결합한 몰입형 엔터테인먼트 비전을, 헬로82는 팬 커뮤니티 중심의 글로벌 음악 비즈니스 모델을, 더핑크퐁컴퍼니는 아기상어 등 글로벌 IP의 지속 성장 전략을, MBC는 K컬처 체험형 콘텐츠를 통한 새로운 수익 생태계를 각각 소개했다.
이를 통해 한국 콘텐츠 산업의 혁신성과 기술 경쟁력, 투자 매력도를 북미 투자자들에게 알렸다.
발표 후 진행된 투자 유치(IR) 피칭 세션에는 스튜디오더블유바바, 뉴툰, 스튜디오메타케이, 하이스트레인저, 밀레니얼웍스 등 5개 기업이 참여했다.
각 기업은 고유의 사업 모델과 제작 역량, 콘텐츠 IP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발표하여 현지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를 통해 K콘텐츠의 사업 다변화 가능성과 실질적 투자 유치 잠재력이 한층 구체화됐다.
6일 현장에서는 글로벌 투자사 '앳워터 캐피털'과의 업무협약(MOU) 체결 및 특별 세션, 일대일 투자 상담회가 진행됐다. 콘진원은 앳워터 캐피털과 2024년 체결한 협약을 연장하며 북미 시장과의 지속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했다.
이어 열린 특별 세션 '파이어사이드 챗'에서 앳워터 캐피털 바니아 슐로겔 대표는 "요즘은 전 세계가 같은 콘텐츠를 소비하지만, '오징어 게임' 과 같은 작품이 보여준 것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한국적 서사와 감성이 가진 힘"이라며 "그 창의성이야말로 한국 콘텐츠의 가장 큰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사업에 참여한 국내 15개 콘텐츠 기업은 유니버설 픽처스,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소니 주식회사 등 글로벌 투자자 및 제작사들과의 개별 상담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 전략을 구체적으로 공유했다.
투자 상담회는 7일까지 이어졌으며 총 181건의 상담 성과를 달성했다. 이번 상담을 계기로 국내 콘텐츠 기업들이 북미 투자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실질적인 시장 진출 기회를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현석 콘진원 원장직무대행은 "올해 유녹은 일본과 싱가포르에 이어 미국에서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며, K콘텐츠 글로벌 투자 플랫폼으로서의 연속성과 실효성을 입증했다"라며, "앞으로도 콘진원은 투자 유치부터 공동 제작, 유통까지 전 과정에서 한국 콘텐츠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alice0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