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증시 데일리 이슈(11.6)] 미중 관세 합의 이행, 자율주행 투스타 홍콩상장, CEIC 2025

기사입력 : 2025년11월06일 09:26

최종수정 : 2025년11월06일 10:07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이 기사는 11월 6일 오전 09시2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와 중국 유력 경제매체 거룽후이(格隆匯)에 따르면, 11월 6일 중국증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이슈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정책·경제·산업 중요 이슈

1. 중국, 대미  보복관세 중단, 24% 추가관세 유예

중국이 '미중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대로 미국의 '펜타닐 관세' 인하 조치에 화답해 보복관세를 철회하고, 24%의 대미 추가관세도 1년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5일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오는 10일 13시 1분(중국 현지시간)부터 △미국산 닭고기·밀·옥수수·면화에 대한 15% 추가 관세와 △미국산 수수·대두·돼지고기·쇠고기·수산물 등에 대한 10% 추가 관세 조치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해당 추가 관세는 지난 3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이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 제조·유통 차단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20%의 관세(일명 '펜타닐 관세')를 중국에 부과한 데 따른 보복조치로 이뤄졌다.

하지만, 미국은 펜타닐 관세를 20%에서 10%로 인하하기로 했고, 이번 인하 조치로 인해 미국의 대중국 관세율은 57%에서 47%로 조정됐다.

이와 함께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부과한 24%의 추가 관세 부과를 오는 10일부터 1년 더 유예하기로 했다. 추가 관세 유예 조치도 10일 13시 1분(중국 현지시간)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양국의 이러한 조치는 지난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간 부산에서 이뤄진 미중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포괄 협정의 일환으로 이행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0월 30일 부산에서 정상회담을 마치고 함께 걸어나오고 있다. [신화사=뉴스핌 특약]

2. 中 양대 자율주행 스타트업, 홍콩 동시 상장

중국 자율주행 업계의 '투 스타(Two Star)'로 불리는 두 중국테마주가 6일 홍콩증시에 동시 상장한다.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니AI(Pony.ai∙小馬智行∙샤오마즈싱)와 위라이드(WERIDE∙文遠知行∙원위안즈싱)가 그 주인공으로, 두 기업의 종목코드는 2026.HK와 0800.HK로 결정됐다. 이들은 이미 미국에 각각 PONY.US와 WRD.US의 티커로 상장돼 있다. 

두 기업의 상장이 완료되면 올해 9월 16일 홍콩증시에 상장한 글로벌 라이다(LiDAR) 업계의 선두기업 중국 허사이테크놀로지(禾賽科技∙Hesai Technology, 이하 허사이)에 이어 '홍콩+미국' 이중 상장을 달성한 2∙3번째 중국계 상장사가 된다. 

포니AI는 주당 139 홍콩달러(HKD)로, 위라이드는 주당 27.1 HKD로 책정됐다. 두 회사 측은 발행가 산정 시 10월 31일 미국 나스닥 시장에서의 미국예탁주식 종가 등 여러 요소를 고려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포니 AI는 약 71억9400만 HKD의 자금을, 위라이드는 29억3200만 HKD의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다.

이번 IPO에서 포니AI는 5곳의 핵심 투자자를 유치했다. 이들은 총 1억2000만 달러(약 9억 3200만 HKD) 규모의 주식을 인수했다. 주요 투자자에는 프루덴셜(02378.HK) 산하 이스트스프링(Eastspring), Ghisallo Master, Hel Ved, Athos Capital, Ocean Arete 등이 포함됐다. 위라이드는 차량 호출 플랫폼 우버(Uber), 동남아 차량 호출 플랫폼 그랩(Grab), 독일 산업기업 보쉬(Bosch)의 투자를 받았다.

3. CEIC 2025 소비전자혁신대회

'CEIC 2025 소비전자혁신대회'가 금일 6일부터 8일까지 선전(深圳)시에서 개최된다.

이번 대회의 주제는 '새로운 전자, 새로운 경험, 새로운 소비'로 스마트 단말, 스마트카, 스마트홈, 디지털 헬스, 신기술 반도체 등 5대 혁신 분야에 포커스가 맞춰질 예정이다. 

중국 대표 IT업체 화웨이(華為)가 독자 개발한 운영체제(OS) 하모니(HARMONY∙鴻蒙∙하모니), 중국의 차세대 근거리 무선 연결 기술인 니어링크(Near Link∙星閃∙싱샨), 초고화질 HDR 영상기술 표준 HDR비비드(HDR Vivid∙菁彩影像∙징차이 영상) 등 차세대 선도 기술을 적용한 2000여 종의 혁신적인 스마트 제품이 선보여질 예정이다.

◆ 주목할 중국증시 상장사 뉴스

1. 귀주모태(600519.SH) : 15억~30억 위안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 공시. 300억100만 위안(세전, 약 6조780억원) 중간배당 시행.

2. 가원과기(688388.SH) : 리튬 이온 배터리용 고성능 전해 동박과 인쇄 회로 기판(PCB)용 전해 동박 연구업체. 배터리 음극 집전체 소재 구매 등과 관련해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사 닝더스다이(CATL 300750.SZ/3750.HK)와 협약 체결.

3. 삼각방무(300775.SZ) : 항공우주 산업용 부품 생산 기업. 지멘스에너지와 가스터빈 프로젝트 개발 및 주문 협약 체결.

4. 잡배억(300863.SZ) : 자동차 케이블 개발업체. 휴머노이드 로봇용 부품 프로젝트의 연구개발 및 사업 구도 가속화.

5. 포니AI와 위라이드 :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니AI(Pony.ai∙小馬智行∙샤오마즈싱)와 위라이드(WERIDE∙文遠知行∙원위안즈싱)가 6일 같은 날 홍콩증시 상장.

6. 닝보항(601018.SH : 10월 예상 화물 물동량은 9960만 톤(t)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할 것이라 밝힘.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로제· 케데헌, 그래미 '올해의 노래' 후보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블랙핑크 멤버 로제와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골든'이 2026년 그래미 어워즈 '올해의 노래(Song of the Year)' 부문 후보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7일(현지시간) 발표된 제68회 그래미 어워즈 후보 명단에 따르면 로제는 솔로 곡 '아파트(APT)'로 '올해의 노래'와 함께 '레코드 오브 더 이어(올해의 음반상)' 부문에 올랐다. K-팝 솔로 아티스트가 그래미 어워즈 두 개의 메이저 부문에 동시에 노미네이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뉴스핌]  oks34@newspim.com '케데헌'의 '골든' 역시 '올해의 노래'를 포함하여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등 총 5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미국의 피치포크 등 전문 매체는 영화의 OST 곡이 메이저 부문 후보에 오른 것도 드문 사례라면서 "K팝 콘텐츠의 확장성과 영향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라고 평가했다. 포브스는 '로제와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그래미에서 K-팝의 역사를 쓴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로제가 수상에 성공할 경우 그래미 역사에서 K팝이 처음으로 메이저 부문을 돌파하게 된다"며 "이는 한국 음악 산업 전체에 상징적인 사건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제68회 그래미 어워즈는 내년 2월 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크립토닷컴 아레나에서 열린다. kckim100@newspim.com 2025-11-08 04:58
사진
트럼프, 비만 치료제 가격 인하 합의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위고비'를 판매하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와 '젭바운드' 제약사인 미국 일라이 릴리와의 합의를 통해 비만 치료제 가격을 월 250~350달러 수준(35만원~50만원)으로 대폭 인하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월 1천 달러(약 145만 원) 이상에 판매되던 약가가 절반 이하로 낮아지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는 미국 환자에게 '최혜국가 기준' 가격을 적용하기로 합의했다"며 "위고비는 1천350달러에서 250달러로, 젭바운드는 1천80달러에서 346달러 로 내려간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위고비 등 비만약 가격 인하 합의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11.07 kckim100@newspim.com 이번 조치는 메디케어(65세 이상·장애인)와 메디케이드(저소득층) 가입자에게도 적용된다. 정부 부담이 반영될 경우 환자 본인 부담금은 월 50달러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저소득층 메디케이드 가입자는 사실상 무료 또는 저가로 약을 처방받게 된다. 백악관은 또 연내 '트럼프알엑스(TrumpRx.gov)'라는 직구 플랫폼을 개설해, 미국 소비자가 제약사로부터 직접 비만 치료제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자비로 약을 구입하는 미국인들은 위고비·젭바운드를 월 500달러 수준에 구매해왔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245달러 수준까지 추가 인하한다는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뚱보 약'이라고 부르는 이 약들은 매우 효과적이며 이미 수백만 명이 사용하고 있다"며 "이 약들은 생명을 구하고 미국인의 건강을 바꿔 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은 세계 인구의 4%뿐이지만 글로벌 제약사의 75% 수익을 내주고 있다"며 "관세 압박을 통해 약가를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약속을 지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약사들이 미국에서만 바가지를 씌우는 시대를 끝내겠다"며 "이번 약가 인하가 그 신호탄"이라고 말했다.  이번 합의에는 곧 출시될 위고비·젭바운드 '알약 형태(경구용)' 약가도 포함됐다. 최저 용량 기준 월 150달러가 적용되며, 출시 즉시 메디케어·메디케이드에서도 동일한 가격으로 급여가 이뤄진다. 노보 노디스크는 고용량 경구제 위고비의 FDA 승인 심사를 받고 있으며, 일라이 릴리도 '오르포글립론'이라는 비만·당뇨 경구제를 연내 승인 신청할 예정이다. 그동안 미국 내 건강 보험 상당수는 여전히 비만 치료 목적의 약가 지원을 제한해 왔으며, 이 때문에 '부자만 살 빠지는 약'이라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kckim100@newspim.com 2025-11-07 03:26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