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뉴스핌] 우승오 기자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5일(현지시간) 대한민국대도시시장협의회 소속 시장단과 함께 베를린 독일도시협의회와 연방 상원의회를 찾아 한국ㆍ독일 도시 간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시장은 독일도시협의회 고위 관계자와 두 시간가량 간담회를 연 자리에서 연방제 국가인 독일 각 도시들이 연방정부, 주정부와 관계에서 자치 역량을 어떻게 발휘하고 세계 각국의 도시들과 어떤 형태의 교류 협력을 하는지를 물었다.
![]() |
대한민국대도시시장협의회 소속 시장단은 5일(현지시간) 베를린 독일도시협의회를 방문했다. [사진=용인시] |
1905년 설립한 독일도시협의회엔 약 200개 도시가 회원으로 참여 중이다. 정당과 무관하게 독일 회원 도시 처지를 대변하고 지방 재정권을 확대하려고 활동한다. 베를린·함부르크·뮌헨·쾰른·프랑크푸르트·라이프치히 같은 대도시와 다른 주요 도시가 회원으로 가입했다.
이 시장은 독일도시협의회 힐마르 로예브스키 운영총괄(head of departments)과 간담회에서 초대형 반도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용인시가 올해 미국 반도체산업의 새로운 축으로 자리잡는 텍사스주 윌리엄슨 카운티와 자매결연을, 미국 4차산업 관련 기업이 투자를 확대하는 버지니아주 페어팩스 카운티와 우호결연을 맺은 사실을 설명하면서 "독일도 첨단산업 분야 선도국가인 만큼 용인이 독일 주요 도시와 교류 협력 관계를 맺고 싶은데 도와주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로예브시키 총괄은 "한국 반도체산업이 놀라울 정도로 발전했는데 어떻게 그렇게 발전했는지 독일에서도 궁금해 한다"며 "용인시가 독일 어떤 도시와 어떤 내용의 교류 협력을 하고 싶은지 세세한 제안을 해준다면 적극 돕도록 하겠다"고 화답했다.
이 시장 일행은 이어 독일 16개 주 대표로 구성한 연방 상원의회 임무에 대해 설명을 듣고 건물 내부를 둘러봤다.
독일연방 상원은 연방을 형성하는 16개 주 주장을 대변하는 대표 69명으로 구성하지만, 이들 멤버는 선출직이 아니라 주의 파견직이다. 모든 법률은 선출직 의원으로 구성한 연방하원에서 만들지만 국민 기본권이나 16개 주 이익과 직결되는 입법 사안이나 헌법 개정은 상원의회 동의가 필요하다. 상원의회가 연방하원을 견제하고 연방정부가 주 이익을 침해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구실을 하지만 입법권을 가진 미국 상원과는 많이 다르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 시장 일행은 이어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관저를 방문해 임상범 대사와 만찬을 함께 하면서 독일 내부 정세, 한국과 독일 외교 관계를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seungo215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