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7.16포인트(0.32%) 상승한 4만5565.23에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5.46포인트(0.24%) 상승한 6481.40에 마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45.87포인트(0.21%) 전진한 2만1590.14로 집계됐다.
장 마감 직후 발표되는 엔비디아의 2분기 실적을 앞두고 S&P500지수 11개 업종 중 8개는 상승, 3개는 하락했다. 에너지는 1.15% 올라 두드러진 오름세를 보였으며 기술업종도 0.48% 상승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0.09% 하락 마감했다.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사인 알파벳과 아마존은 각각 0.16%, 0.18% 올랐으며 메타플랫폼스는 0.89% 내렸다.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개발사 몽고DB의 주가는 기대 이상의 실적에 37.96% 급등했다. 백화점 체인 콜스 역시 기대를 크게 웃도는 실적으로 23.93% 뛰었다.
미디어 기업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는 6.50% 하락해 4거래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J.M.스머커의 주가는 회계연도 1분기 순이익과 매출액이 월가 기대치에 못 미쳐 4.38% 하락했다. 도너츠 회사 크리스피 크림은 JP모간의 투자 의견 하향 조정에 3.49% 내렸다.
엔비디아 실적의 영향이 크게 작용할 것으로 보이는 28일 뉴욕증시에서 투자자들은 주요 경제 지표에 주목할 전망이다. 개장 전에는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수정치와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발표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차기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으로 염두에 두고 있는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의 공개 발언도 예정돼 있다. 월러 이사는 지난달 회의에서 금리 인하 소수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었다.
미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날 뉴욕 채권시장에서 2년 만기 미 국채금리는 장중 3.625%로 5bp(1bp=0.01%포인트) 하락하며 약 4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10년물 금리는 장중 4.236%까지 내려 8월 중순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2년물과 10년물 금리차는 한때 63.5bp까지 벌어지며 4월 이후 가장 가팔랐다.30년물 금리는 장중 4.96%까지 치솟은 뒤 4.915%에 거래됐다. 5년물과 30년물 금리 차이는 121.8bp로, 2021년 8월 이후 가장 큰 폭을 기록했다.
시장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반영하며 단기물 금리가 하락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인사 개입 움직임도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파월 의장 해임 검토설에 이어 최근 리사 쿡 연준 이사 해임 통보로 연준 인사권을 둘러싼 법정 공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 달러화는 이날 유로화·엔화 대비 강세를 보였지만 오후 들어 등락을 거듭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지수는 98.227로 소폭 상승 마감했다. 달러는 스위스 프랑 대비 0.14% 하락했으며, 일본 엔화에 대해서는 147.445엔으로 보합에 머물렀다. 유로화는 프랑스 정치 불확실성 속에 1.1631달러까지 밀리며 이달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 내 원유 재고 감소 소식에 국제유가가 상승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10월물은 배럴당 83센트(1.2%) 올라 68.05달러를 기록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0월물도 90센트(1.4%) 상승해 64.1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두 계약 모두 전날에는 2% 이상 하락했었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 원유 재고는 240만 배럴 줄어 4억1830만 배럴을 기록했다. 이는 로이터 설문에서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190만 배럴 감소보다 큰 폭이다. 휘발유 재고는 120만 배럴 줄었지만, 시장 예상치였던 220만 배럴 감소에는 못 미쳤다. 디젤과 난방유를 포함하는 중간유 재고는 180만 배럴 줄어, 88만5000배럴 증가 예상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최대 50%까지 두 배로 올린 것도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에 대응한 이번 관세는 이날부로 발효됐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서로의 에너지 인프라 공격을 강화한 것도 공급 차질 우려를 키우고 있다. 우크라이나 당국에 따르면 러시아는 전날 밤 사이 6개 우크라이나 지역의 에너지·가스 운송 인프라를 대규모 드론으로 공격했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최근 러시아의 정유 시설과 수출 인프라를 타격했다.
금값은 보합세를 기록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0.5% 올라 온스당 3448.6달러에 마감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STOXX600지수는 전장보다 0.56포인트(0.10%) 오른 554.76에 마쳤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지수는 106.66포인트(0.44%) 밀린 2만4046.21로 집계됐다. 영국 런던증시의 FTSE100지수도 10.30포인트(0.11%) 하락한 9255.50으로 집계됐다.
전날 3주래 최저치로 내린 프랑스 파리증시의 CAC40지수는 34.12포인트(0.44%) 반등한 7743.93에 마감했다. 전날 프랑수아 바이루 프랑스 총리의 정부가 하원에 신임 투표를 요청하면서 프랑스에서는 내달 내각이 해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부각됐다. 정부가 해산되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즉시 새로운 총리를 지명하거나 바이루 총리에게 임시 정부의 수반으로 남아달라고 요청할 수 있으며 조기 선거를 실시할 수도 있다.
알리안츠 글로벌 인베스터스의 크리스토프 오탱 주식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프랑스 은행과 유틸리티, 비즈니스 서비스들에는 이미 많은 부분이 반영돼 있다"면서도 "하지만 향후 몇 주간은 불확실성이 지속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특징주를 보면 독일 도이체방크와 코메르츠방크는 골드만삭스의 투자 의견 하향 이후 각각 3.4%, 4.9% 하락했다. 이탈리아 의료 진단 기업 디아소린은 JP모건의 '비중 축소' 의견으로 5.8% 내렸다. 반면 스위스 시계 제조업체 스와치는 회사가 미국 관세 영향을 가격 인상으로 부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 6.3% 상승했다. JD 스포츠는 미국 내 판매가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로 3.6% 상승했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