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4일(현지시간) 유럽 주요국 증시가 일제히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월 8일까지"라고 못박은 무역 협상 종료 시점이 코 앞으로 다가오자 시장은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 10~12개국을 시작으로 며칠동안 전 세계 각국에 개별 상호관세율을 통보하겠다"고 말했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보다 2.63포인트(0.48%) 떨어진 541.13으로 장을 마쳤다. 오전 10시55분쯤 539.01까지 떨어졌다가 장 막판으로 가면서 그나마 하락폭을 줄였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146.68포인트(0.61%) 내린 2만3787.45에,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0.29포인트(0.0%) 하락한 8822.91로 마감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58.28포인트(0.75%) 후퇴한 7696.27로, 이탈리아 밀라노 증시의 FTSE-MIB 지수는 321.04포인트(0.80%) 물러선 3만9622.11에 장을 마쳤다.
스페인 마드리드 증시의 IBEX 35 지수는 209.90포인트(1.48%) 내린 1만3973.00으로 마감했다.
![]() |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 [사진=로이터 뉴스핌] |
무역 협상 종료일이 임박했지만 유럽연합(EU)은 이날까지도 미국과 타결안을 도출하지 못했다.
EU 측은 워낙 내용이 방대하고 무역 규모가 크기 때문에 이번에 최종적이고 완전한 협상 타결은 불가능하고 대신 '원칙적 차원의 합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EU 협상단은 10% 일괄 관세를 수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히면서 협상 기한 연장과 자동차와 철강 등 특정 수출품에 매겨진 고율의 관세를 낮추거나 없애달라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JP모간의 애널리스트들은 "미국과 EU의 협상단은 관세율 뿐만 아니라 비관세 문제도 함께 논의가 진행 중"이라며 "결과는 기존 관세를 유지하면서 많은 문제를 미루는 두 페이지 분량의 '원칙적 합의'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CMC 마켓의 수석 시장 분석가인 요헨 스탄즐은 "EU의 경우 자동차와 부품에는 25%, 알루미늄과 철강에는 50%의 관세가 매겨져 있는데 이 관세는 협상에서 철회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EU에 엄청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4일 오후 늦게 10~12개 국가에 그들이 마주하게 될 관세율을 담은 편지를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며칠 동안 추가 서한이 (여러 나라에) 도착할 것"이라며 "관세율은 60~70%에서 10~20%까지 다양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각 국가들은 이 관세를 8월 1일부터 납부해야 한다"고 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오는 9일 상호관세 유예 종료 이전에 일련의 무역 협정들이 쏟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약 100개국이 최소 10%의 상호 관세율을 적용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중국 상무부는 이날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가 (상무부 건의에 따라) 7월 5일부터 향후 5년간 EU에서 생산된 수입 브랜디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세율은 27.7%~34.9%로 책정됐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해 1월 EU 브랜디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시작했고, 지난해 8월 예비 판결을 내린 뒤 이날 최종 판결을 내놓았다.
중국 상무부는 "EU 산업 협회 및 기업이 최소 가격 약속을 수락했으며, 이 약속을 지키는 업체와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헤네시, 레미 쿠앵트로, 페르노리카 등 프랑스의 대형 코냑 생산업체에 대해서는 반덤핑 관세가 면제된다. 이들 업체가 일정 금액 이하로는 제품을 판매하지 않겠다는 '최저 판매가'를 약속했기 때문이다.
EU 집행위원회는 중국 반덤핑 조사 결과 자체가 부당하다고 반발했다. 올로프 길 EU 무역담당 대변인은 "부당하며 관련한 국제 규범에도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반덤핑 관세는 근거가 없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주요 섹터 중에서는 기초자원이 1.4%, 은행이 1.3% 하락하면서 전체적으로 지수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역할을 했다. 반면 의료 섹터는 노바티스와 로슈, 노보노디스크 등의 선전으로 1.1%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