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직원·비영리 모두 지분 보유 가능, 자금 조달엔 불확실성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영리 기업으로 전환하려던 계획을 철회하고, 기존처럼 비영리 재단이 회사를 계속 통제하기로 결정했다고 5일(현지시간) 야후파이낸스 등 주요 외신이 보도했다.
이번 결정은 오픈AI의 영리 기업 전환에 대한 일론 머스크의 강한 비판과 소송, 그리고 오픈AI 전 직원 및 AI 연구자들의 반발 이후 내려진 것이라 주목된다.
이날 오픈AI는 "회사 구조를 공익법인(Public Benefit Corporation·PBC)으로 개편해도 비영리 조직이 전체 사업 통제권을 유지하게 된다"고 밝혔다.
브렛 테일러 오픈AI 이사회 의장은 "우리가 고려 중인 구조에서 비영리 조직이 여전히 오픈AI를 통제하게 된다"며 "비영리 조직의 자회사를 공익법인으로 전환하면 직원과 투자자, 비영리 조직 모두가 지분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 |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사진=로이터 뉴스핌] |
머스크는 오픈AI가 비영리 단체로 운영하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영리를 추구해 투자자 등과 한 계약을 위반했다며 지난해 오픈AI와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아울러 여러 시민단체·노동조합·노벨상 수상자·학자 등이 오픈AI 영리화에 반대 서한을 보냈고, 델라웨어·캘리포니아 주 검찰과의 협의 등 복합적인 외부 압박이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올트먼 오픈AI CEO는 "외부 압력 때문이 아니라, 우리는 오로지 사명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사회 지도자들의 의견을 듣고, 캘리포니아와 델라웨어 주 법무장관실과 논의한 후 비영리 재단이 계속 통제권을 갖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UCLA의 로웰 밀켄 필란트로피 및 비영리 센터의 창립 전무이사 로즈 찬 루이는 이번 결정을 "훌륭한 결과"라고 평가하면서도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영리 재단이 지분 규모와 상관없이 실제로 오픈AI의 AI 개발 방향을 진정으로 통제하길 바란다"면서 "이익이 아니라, 원래의 목적(공익)이 최우선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비영리 이사회 구성원을 누가 임명하고, 이사회가 어떻게 PBC(공익법인)를 감독할지 더 알아야 한다"면서 이들은 AGI(범용 인공지능)가 안전하게 개발되고 인류에 이롭게 쓰이도록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비영리 이사회는 PBC의 운영에 대한 완전한 투명성이 없으면 제 역할을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오픈AI는 이번 보도와 관련해 야후 파이낸스의 논평 요청에 즉각 답하지 않았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