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A주 급등 섹터] 잇단 정책호재에 상한가랠리, 풍력발전∙태양광 '신에너지'

기사입력 : 2021년09월16일 09:30

최종수정 : 2021년09월16일 09:30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전 거래일인 15일 A주(중국 본토증시에 상장된 주식) 시장에서 태양광, 풍력발전, 리튬전지 핵심소재 등 신에너지 관련 섹터가 당국의 지원책 발표에 힘입어 눈에 띄는 상승장을 연출했다.

◆ 주가 동향

중국 증권정보 제공업체 퉁화순(同花順)에 따르면 이날 전력 섹터지수(881145)는 전장 대비 2.60% 올라 퉁화순이 산출하는 66개 섹터지수 중 6위를 차지했다.

전력 섹터에 속한 세부 테마주 별로는 이차전지와 태양전지의 필수 소재로 쓰이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풍력발전,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BIPV) 등 신에너지 관련 테마주들이 상승폭 순위로 상위권을 휩쓸었다.

구체적으로 PVDF 테마주가 8.76% 올라 퉁화순이 산출하는 203개의 테마주 지수 중 1위를 차지했고, 풍력발전과 BIPV 테마주가 각각 전장 대비 4.27%와 4.10% 올라 5위와 6위를 기록했다.  

개별 종목별로는 PVDF 테마주 중 절강거화(600160.SH), 삼미주식회사(603379.SH), 동양광테크놀로지(600673.SH)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풍력발전 테마주 중에서는 금뢰풍력발전(300443.SZ), 쌍일과기(300690.SZ) 등이, BIPV 테마주 중에서는 한가설계(300746.SZ), 동욱남천신에너지(000040.SZ), 진코 파워 테크놀로지(601778.SH), 중이그룹(002309.SZ) 등이 상한가를 쳤다.

[사진 = 퉁화순] 15일 퉁화순 풍력발전테마주지수(885641) 주가 추이

◆ 핵심이슈

9월 14일 중국국가에너지국은 '중국 현(시∙구) 지붕형 분포식 태양광 발전 시범운영 리스트'를 발표하고 각 성과 자치구, 직할시,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產建設兵團) 등의 676개 지역을 대상으로 BIPV 등 지붕형 분포식 태양광 발전시설 시범운영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각 지역에 2023년 말까지 지난 6월 발표한 '중국 현(시∙구) 지붕형 분포식 태양광 발전 시범방안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에서 규정한 요구사항에 따라 분포식 태양광 설비를 설치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지에 따르면 당과 정부기관의 경우 건축물 지붕 총 면적의 50% 이상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고, 학교와 병원 등의 지붕에는 40% 이상, 상공업 시설물 지붕에는 30% 이상, 농촌주거지 지붕에는 20% 이상을 설치해야 한다.

이에 앞서 중국 당국은 풍력발전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 구상을 공개했다. 지난 9월 10일 열린 '제4회 풍력개발기업 리더 좌담회'에서 국가에너지국 신재생에너지사(司)의 왕다펑(王大鵬) 부사장은 향후 풍력발전 농촌보급 계획인 '천향만촌어풍계획(千鄉萬村馭風計劃)'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풍력발전과 태양광 보급확대를 위한 일련의 정책들은 신에너지 섹터 영역에 다양하게 활용되는 PVDF 수요 확대 기대감으로 이어졌다. PVDF는 내부식성∙내고온성∙내산화성∙내후성∙내방사성 등을 띄는 특수 화학물질로 도료, 사출형성, 리튬전지, 수처리, 태양에너지 등 다양한 영역에 활용된다.

[사진 = 퉁화순] 15일 퉁화순 BIPV테마주지수(885920) 주가 추이

◆ 투자방향

흥업증권(興業證券)은 현재 중국 BIPV 시장은 고속성장단계에 집입했다고 판단하며 중국 당국의 BIPV 보급 확대 움직임 속에 2020~2025 국내 BIPV 시장의 연간복합성장률(CAGR)은 82.8%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절상증권(浙商證券)은 풍력발전 농촌보급 계획으로 인해 풍력발전 수요는 단기적으로 50GW, 장기적으로 1000GW 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국신증권(國信證券) 해당 계획으로 2023~2025년 풍력발전 수요가 최대 25%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화서증권(華西證券)은 △풍력발전 설비 대형화에 따른 원가 하락 △풍력발전 부품 국산화  △해상 풍력발전 개발 확대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풍력발전 기업의 성장잠재력 확대 등을 들어 중국 풍력발전 산업체인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PVDF 수요가 안정적으로 확대되면서 2025년 전세계 PVDF 수요는 24만톤으로 늘어나고, 2021~2025년 CAGR은 37%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