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중국 문화

속보

더보기

[중국 핫!이슈] 판빙빙 2억원 VIP 카드 뷰티살롱 개업? 우한대 벚꽃축제서 기모노 '봉변', QR코드 스캔하니 화장실 휴지가 쏙

기사입력 : 2019년03월29일 16:45

최종수정 : 2019년03월29일 17:59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서울=뉴스핌] 이미래 김은주 기자 =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3월 25일~29일) 동안 14억 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 중국 유명 셀럽 스타일리스트 장솨이 뷰티숍 개업으로 화제

판빙빙(範冰冰), 장쯔이(章子怡),황샤오밍(黃曉明),안젤라 베이비 등 수많은 중국 특급 스타의 옷차림과 메이크업을 담당했던 중국 유명 스타일리스트 장솨이(張帥)가 최근 뷰티 숍을 개업하면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장솨이의 뷰티숍 개업식[사진=바이두]

그는 지난 26일 베이징에서 자신의 뷰티숍 먀오메이푸뎬탕(妙美肤殿堂) 영업을 시작하면서 탈세 사건 후 칩거 상태인 판빙빙을 비롯해 리천, 판청청 등 친분이 깊은 유명 스타를 초청, 성대하게 개업식을 열면서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올해 40세인 장솨이는 중국 10대 메이크업 아티스트이자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 'M.A.C'의 특별초빙 메이크업 아티스트로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같은 화려한 경력을 지닌 장솨이는 정규 교육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독학으로 패션과 메이크업을 연마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메이크업 학원에서 강의를 청강하면서 메이크업을 익혀 강사로 학생들을 가르치게 된다.

그 후 장솨이는 CCTV(中央電視臺) 메이크업 아티스트로 활동하는 동시에 특급 스타들의 메이크업을 전담하면서 그의 명성은 중국 연예계에서 널리 알려지게 된다. 특히 판빙빙,안젤라 베이비, 황샤오밍 등 유명 셀럽의 스타일링을 전담하면서 이 스타들과 친가족처럼 깊은 친분을 맺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유명 연예인의 패션 스타일을 맡으면서 그의 남다른 감각이 반영된 방송 의상은 많은 시청자들로부터 호평을 받게 된다.

이에 그는 지난 2014년 패션 분야에도 손을 뻗어 자신의 이름과 동명인 의류 브랜드 '장솨이'(張帥)를 출시하기도 했다.

장솨이는 또 지난 2016년  판빙빙과 같이 출연한 패션 리얼리티 쇼인 ‘워더신이’(我的新衣)에서 기구를 주제로 의상을 제작해 우승을 차지하면서 주목을 받기도 했다. 당시 그가 출품한 의상의 판권 금액은 3900만 위안으로 책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최근 장솨이가 개업한 뷰티 숍을 두고 적지 않은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판빙빙이 연예계 컴백을 앞두고 미용업계에 진출했다는 관측을 제기했지만, 판빙빙측은 즉각 이를 부정했다.

다만 이 뷰티숍의 소유주는 판빙빙의 모친 장촨메이(張傳媒)가 대주주로 있는 업체인 징리궁잉시원화(京麗宮影視文化)인 것으로 전해지면서 장솨이의 뷰티 사업은 판빙빙 일가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이 뷰티숍의 회원권 가격은 5만위안(약 840만원)부터 시작해 최대 100만위안(약 1억 68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져 지나치게 비싼 가격으로 온라인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이와 관련해 중국 네티즌들은 “서민들은 절대 이용할 수 없는 곳이다”, “연예계 스타들만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등 곱지않은 시선을 드러냈다.

◆ 기모노 입고 우한대 벚꽃놀이 간 관광객, 학교 관계자에게 봉변

최근 중국 벚꽃놀이 명소인 우한대학교(武漢大學)에서 학교측 보안요원이 두 명의 관광객을 무력으로 진압하는 영상이 인터넷에 퍼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인터넷에 퍼진 1분 7초 분량의 동영상을 보면 기모노로 보이는 옷을 입은 두 명의 청년이 네 명의 보안요원에게 둘러싸여 있다. 청년들은 “무슨 이유로 사람을 내쫓는 거냐. 나는 학생이다. 교장을 불러달라”며 소리쳤지만 보안요원들은 목을 조르거나 땅에 밀치는 등 무력을 사용했다.

후베이(湖北)성 우한대학교에서 발생한 이 사건의 발단은 두 청년의 복장이었다.

대학 보안요원 측은 “교내 벚꽃놀이 기간에는 기모노 입은 관광객의 출입을 금지하고 있다”며 학생의 복장을 문제 삼았다. 청년들은 “내가 입은 건 기모노 아닌 당나라 전통의상 탕좡(唐裝)이라고 항의했다. 

중국 전통 의상중 하나인 치파오(旗袍)는 바로 이 탕촹과 만주족(滿族)의 전통복 파오즈(袍子)가 결합한 형태다. 

영상 속 구경꾼들 역시 두 남성이 입은 옷이 탕좡이냐 기모노냐를 두고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앞서 2002년 우한대학교는 기모노 입은 관광객의 출입을 금지하는 규정을 제정한 바 있다.

대학교 측은 “올해도 변함없이 관련 내용을 공지했다”고 밝혔지만, 우한대학교 학생은 인터뷰를 통해 “문서 형식이 아닌 구두 통지였다”고 전했다.

또 당시 현장에 있었다고 밝힌 한 네티즌이 “두 청년 중 한 명이 온라인 예약을 하지 않아 발생한 일”이라고 주장하자, 피해 학생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입장 전 인터넷 예약 확인은 물론, 신분증 검사까지 받았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피해 학생은 “당나라 문화에 관심이 깊어 당시 전통의상을 입었을 뿐”이라고 항변하며 “보안요원도 나도 중국인이다. 싸우고 싶지 않다”고 하소연했다.

우한대학교에서 네 명의 보안위원에게 둘러싸여 폭행 당한 대학생 [사진=바이두]

해당 동영상이 SNS를 통해 급속히 옮겨지고 여러 언론에 보도되면서 논란이 증폭되자 우한대학교 측은 “경찰의 수사를 요청했다”고 발표했다.

한편 우한대학교 내부에는 1000여 개의 벚꽃나무가 있어 매년 봄이 되면 벚꽃축제를 즐기려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벚꽃축제는 약 2주 정도(올해 3월 21일~4월 4일) 진행되며 평균 몇 십만 명의 관광객이 몰린다. 올해 우한대학교는 벚꽃 축제를 온라인 사전 예약제로 운영, 평일 1만5000명, 주말 3만 명으로 입장을 제한했다.

◆ 휴지도 공유경제 시대, 중국 베이징에 QR코드로 빼 쓰는 휴지통 등장

‘공익 스마트 휴지기’ 이용 모습 [사진=바이두]

“화장실 휴지, 이제 스마트폰 QR코드로 간단히 해결됩니다”

'공유경제'의 천국 중국에 공유 자전거, 공유화장품, 공유 충천 배터리에 이어 이번에는 ‘공유 휴지’가 등장했다.

베이징 진위안옌사(金源燕莎) 쇼핑센터는 매장 화장실에 QR코드를 스캔하면 무료로 휴지가 나오는 기계장치(공익 스마트 휴지기)를 설치해 고객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화장실내에 설치된 장치에 QR코드를 스캔하면, 80센티미터(cm) 길이의 휴지가 자동으로 나오는 시스템이다.

진위안옌사 측은 무료 휴지 남용 방지를 위해 실시간 온라인 모니터링을 실시하며, 1인당 하루 다섯 번까지만 사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공익 스마트 휴지기를 개발한 선전(深圳) 쭤샹(坐享) 스마트과학기술유한회사는 “모바일 인터넷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업소 화장실 휴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나아가 자원 낭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개발 취지를 밝혔다.

이 회사는 현재 베이징 진위안옌사 쇼핑몰 비롯해 화롄(華聯), 구이유(貴友), 왕푸징(王府井) 쇼핑몰 화장실 매장에 모두 1000여 대의 공익 스마트 휴지기를 설치했다.

왕푸징 쇼핑몰에 따르면 매년 화장실 휴지를 관리하는 데 드는 비용만 40~ 50만 위안(약 6746~8432만원)에 이른다. 쇼핑몰 측은 공익 스마트 휴지기 도입으로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에선 '공유경제' 바람을 타고 각종 공유 서비스가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에 스며들고 있다. 국가정보센터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공유경제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41.6% 증가한 2조 9420억 위안(약 496조원)에 달했다. 이 시장은 향후 3년간 연평균 30% 이상의 고속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leemr@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변상문의 화랑담배] "일장기가 내려졌다" 변상문의 '화랑담배'는 6·25전쟁 이야기이다. 6·25전쟁 때 희생된 모든 분에게 감사드리고, 그 위대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제목을 '화랑담배'로 정했다. 미 합참으로부터 일반명령 제1호를 하달받은 맥아더 장군은 일본 오키나와에 주둔하고 있던 미 제10군 예하 미 제24군단장 하지(John R. Hodge) 중장에게 1945년 8월 29일 한국의 38도선 이남 지역에서 일본군 무장을 해제하라고 명령하였다. 1945년 8월 기준 무장해제 대상 한반도 주둔 일본군은 14개 사단 35만여 명이었다. 이 명령에 따라 하지 장군은 예하 미 제7사단, 미 제40사단, 미 제96사단 배치 계획을 수립하였다. 미 제7사단은 서울과 개성을 포함한 38도선 일대 및 경기도, 충청도 일원을 맡도록 했다. 미 제40사단은 강원 및 경상도를, 미 제96사단(나중에 미 제6사단으로 변경)은 전라도를 책임 지역으로 할당하였다. 제주도는 미 제25기지창이 맡았다. 38도선 이남에 진주한 전체 미군 병력은 약 7만7645명이었다. 하지만 오키나와에 상륙함정이 부족하여 미 제7사단을 우선 투입하였다. 1945년 12월 19일 대한민국 임시 정부 환국을 환영하는 국민 행렬. [사진= 국사편찬위원회] 맥아더 장군은 미 제24군단의 한국 진주에 앞서 포고령 제1호를 발표하였다. 이 포고령 제1호에는 북위 38도선 이남 지역에 미군이 진주하여 일본군 무장을 해제하고, 유엔에 가입할 자격을 갖춘 독립된 국가를 수립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1945년 9월 8일 13:30 인천항. 미 제7사단 장병들이 상륙정에서 내리기 시작했다. 날씨는 맑았다. 바람은 따뜻했다. 부두 공간은 충분했다. 17:30 상륙을 마쳤다. 다음 날인 9월 9일 아침 철로를 이용하여 서울로 들어왔다. 1945년 9월 9일 일요일 서울 거리는 엄숙한 빛 속에 잠겨있었다. 높고 푸르게 개인 가을 하늘을 이고, 태극기, 성조기, 소련 기, 중화민국 국기 등이 나란히 휘날리고 있었다. 서울역에서 내린 미 제7사단 장병들은 대오를 갖추어 조선총독부를 향하여 행군하기 시작했다. 행군 대열 중간에는 하지 중장과 킨 케이드 제독, 그리고 영관급 이상 장교들이 지프차를 타고 있었다. 장병들의 얼굴은 승리자의 위엄보다는 예의와 신의를 존중하는 겸손한 빛이었다. 한눈을 팔거나 전투화 소리를 크게 내는 군인은 없었다. 서울역에서 조선총독부에 이르는 거리에는 사람들이 담을 쌓고 있었다. 대한국인으로서 체면과 위신을 거룩하게 표현하고 있었다. 미 제7사단 600여 명이 09:00경 조선총독부 광장에 천막을 쳤다. 이어서 16:00 일본군의 항복문서 서명식이 조선총독부 회의실에서 거행되었다. 연합국 측의 노엠 H 무어 중위가 개회사를 했다. 미군 장교 안내로 조선 총독 일본군 육군 대장 아베 노부유키, 쬬오쯔끼 조선주차군사령관, 야마구치 진해 해군경비사령관이 차례로 입장했다. 연합국 측 장교단 13명은 이미 착석한 상태였다. 곧이어 하지 중장과 킨케이드 제독이 수많은 내외 보도진의 플래시를 받으며 미 헌병 호위 속에 입장하였다. 16:06 하지 중장은 앉은 채로 조인식 시작을 선언하였다. 영문과 일문으로 된 항복문서가 파란 천이 덮여있는 일본군 측 책상 위에 놓여 있었다. 쪼오쯔끼가 먼저 서명했다. 뒤를 이어 야마구치와 아베가 서명했다. 하지 중장, 킨케이드 제독 순으로 미국 측이 서명했다. 하지 중장의 간단한 폐식사와 함께 조인식이 끝났다. 아베 총독은 병원에 입원한 상태였으나, 이날 가까스로 나와 항복문서에 서명한 것이었다. 아베가 항복문서에 서명한 것은, 미군 제24사단장 하지 중장에게만 한 것이었다. 소련 측에는 항복문서 서명을 안 했다. 한반도에서 유일한 항복문서인 이것은 한반도 전체를 미국에 인계한다는 의미가 들어있는 것이었다. 이날 1945년 9월 9일 16:00를 기해 38도 선 이남에서 일본 국기 게양이 금지되었다. 16:35 조선총독부 정문에 걸려 있던 일장기가 내려졌다. 대신 성조기가 게양되었다. 미군정의 시작이었다. /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   2025-10-13 08:00
사진
국감, 與 조희대·野 김현지 놓고 '강대강' 예고 [서울=뉴스핌] 신정인 배정원 기자 = 오는 13일부터 약 3주간 이재명 정부에 대한 첫 국정감사가 시작된다. 국감 증인으로 더불어민주당은 대법원장을, 국민의힘은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을 요구하면서 '강대강' 충돌이 예상된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윤석열 내란 잔재 청산'을, 국민의힘은 '이재명 독재 저지'를 국감 기조로 규정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10.10 pangbin@newspim.com 특히 민주당은 3대 개혁 과제 중 하나인 사법개혁의 핵심으로 조 대법원장을 놓고 집중 추궁에 나설 방침이다. 통상 대법원장은 국감 출석 후 법사위원장의 동의로 이석하는 것이 관례지만, 이번 국감에서는 이석을 허용하지 않고 직접 답변을 듣겠다는 계획이다. 당에선 조 대법원장이 불출석할 경우 동행명령장 발부도 염두에 두고 있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지난 10일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조 대법원장 등을 겨냥해 "개혁에 저항하는 반동의 실체들"이라며 "반격의 여지를 남겨두면 언제든 다시 내란세력은 되살아난다. 다시는 내란을 생각하지조차 못하도록 하는 것이 빛의 혁명의 정신을 이어가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10.10 pangbin@newspim.com 국민의힘은 김 부속실장 출석을 요구하며 역공에 나선 상황이다. 최수진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김 부속실장의 총무비서관 재직 당시 인사 개입 의혹, 산림청장 천거 관련 보은 인사 논란 등을 겨냥해 "대통령 최측근이자 1급 공직자인 김 실장은 국감에 출석해 각종 의혹을 국민 앞에 직접 해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김 부속실장을 두고 "성남 라인의 비선 실세들이 도처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소식이 끊이지 않는다. 국민의힘은 독재를 저지하고 국민의 삶을 지키는 국감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당은 대통령실을 피감 기관으로 둔 국회 운영위원회뿐 아니라 김 부속실장의 각종 의혹에 대해 상임위별 증인으로 출석시키겠다는 입장이다. 이외에도 여당에 맞서 한미 관세협상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통신사 해킹 사고 등에 대해 정부의 실책을 따져물을 전망이다.  allpass@newspim.com 2025-10-12 06:0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