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범준 기자] 지난달 15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 지진의 여진으로 포항시 용흥동 야산에서 28cm의 땅밀림이 나타났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당국이 사실이 반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 |
산림청은 5일 설명자료를 통해 "28cm(280mm)는 계측장비의 초기값을 당초 11월17일 82mm에서 나흘 뒤인 21일 363mm로 설정을 다르게 해 나타난 변위일 뿐, 땅밀림 수치가 아니다"며 해명했다.
앞서 산림청은 지난달 21일 오전 5시58분에 규모 2.0, 오전 9시 53분 2.4 지진이 연이어 발생한 이후 포항시 용흥동 야산에 설치된 땅밀림 무인감시 시스템의 계측센서 측정값이 담긴 자료를 지난 4일 황주홍 국민의당 의원에게 제출했다.
관련 내용이 언론을 통해 발표되는 과정에서 수치 차이에 대한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날 산림청은 지난달 20일 계측장비에 누수현상이 발생해 재설치가 불가피했다고 밝혔다.
계측 초기값이 차이가 나는 이유에 대해서는 "장비에 설치되는 와이어의 탄성력 차이를 고려해 설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 여파로 땅밀림 현상이 나타난 북구 용흥동 한 야산의 모습. [포항시 제공] |
이어 "지난달 21일 이후 초기값과 현재 계측값의 차이는 1~2mm 수준인 안정화 상태"라면서 "향후 땅밀림으로 인한 산사태 예방·대응 관리체계를 유지해 재해 걱정이 없는 안심국토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지진과 달리, 땅밀림은 계측이 되더라도 긴급재난문자 등 경보체계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아 공무원들이 전화나 직접 방문을 통해 주민들에게 알려주고 있다. 부실한 경보체계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현재 국회 여야는 지진 관련 대책 예산에 땅밀림 복구 공사, 경보체계 구축, 전국 땅밀림 조사 등을 위한 예산 130억원을 편성한 상태다.
[뉴스핌 Newspim] 김범준 기자 (nun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