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Newspim=박민선 기자] 적립식 펀드를 찾는 투자자들의 발걸음이 줄어들고 있다.
2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4월말 기준 적립식 판매잔액은 77조8780억원으로 전달보다 550억원이 증가한 수준이다.
이는 지난 3월 증가액 4560억원에 비해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최저 증가규모인 것. 이러한 현상은 증시 상승에 따른 환매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펀드계좌수는 1357만계좌로 전달보다 16만3000계좌가 감소해 지난해 6월 이후 10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또 지난해 9월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그러나 감소 규모는 지난 3월의 19만3000계좌보다는 줄었다.
업권별 펀드 판매 현황에서는 증권사의 적립식 판매잔액이 지속 증가, 은행권의 적립식 비중이 감소하는 분위기다.
전체 적립식 판매증가액(550억원) 중 절반이 넘는 300억원(54.55%)을 증권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반면 은행권은 25.46%(140억원)을 차지해 감소추세를 보였다.
또 보험사의 적립식 규모는 지난 1월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적립식 증가규모는 은행권과 비슷한 12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회사별 총판매잔액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60조9994억원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30조3867억원), 한국투신운용(22조4598억원), 슈로더투신운용(11조4663억원), 하나UBS자산운용(19조6553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4월말 기준 적립식 판매잔액은 77조8780억원으로 전달보다 550억원이 증가한 수준이다.
이는 지난 3월 증가액 4560억원에 비해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최저 증가규모인 것. 이러한 현상은 증시 상승에 따른 환매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펀드계좌수는 1357만계좌로 전달보다 16만3000계좌가 감소해 지난해 6월 이후 10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또 지난해 9월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그러나 감소 규모는 지난 3월의 19만3000계좌보다는 줄었다.
업권별 펀드 판매 현황에서는 증권사의 적립식 판매잔액이 지속 증가, 은행권의 적립식 비중이 감소하는 분위기다.
전체 적립식 판매증가액(550억원) 중 절반이 넘는 300억원(54.55%)을 증권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반면 은행권은 25.46%(140억원)을 차지해 감소추세를 보였다.
또 보험사의 적립식 규모는 지난 1월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적립식 증가규모는 은행권과 비슷한 12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회사별 총판매잔액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60조9994억원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30조3867억원), 한국투신운용(22조4598억원), 슈로더투신운용(11조4663억원), 하나UBS자산운용(19조6553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