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면제' 기대되는 기업들은 '랠리'
트럼프, 연준 이사에 '경제책사' 스티븐 미란 지명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투자자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발효와 연방준비제도(연준) 인사 관련 소식을 소화하면서 미국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7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됐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4.48포인트(0.51%) 내린 4만3968.64에 마쳤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5.06포인트(0.08%) 하락한 6340.00으로 집계됐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73.27포인트(0.35%) 오른 2만1242.70에 마감했다.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플로어에서 근무 중인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다우지수는 이날 장중 상승분을 반납하고 하락 전환했는데, 이번 주 들어 견조한 흐름을 보이던 시장에서 일부 투자자들이 수익을 실현하며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된 영향이다.
반면 나스닥지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반도체 관세에서 면제 대상이 된 기술 기업들의 랠리 덕분에 상승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외 지역에서 수입되는 반도체 칩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다만 애플처럼 미국에서 생산하고 있거나 확실히 미국 생산을 약속한 기업들에게는 전혀 비용이 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도 이날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당신이 미국에 공장을 짓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면, 관세 없이 반도체를 수입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단, 그 건설은 상무부에 신고되고 처음부터 끝까지 감독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관세 면제 대상에 포함된 기업들의 주가는 양호한 흐름을 보였고, 대표적으로 애플은 3.18%, AMD는 5.69% 뛰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조치가 이날부터 발효되면서, 미국의 평균 수입 관세율은 10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하지만 시장은 이를 크게 의식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아메리프라이즈 수석 시장 전략가 앤서니 사글림베네는 관세와 무역을 둘러싼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현재로선 확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하고 있는데, 그것은 여전히 견고한 경제 펀더멘털과 강한 기업 실적"이라고 설명했다.
팩트셋에 따르면, 현재 S&P 500 기업들의 2분기 순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6월 말 기준 예상치였던 4%의 거의 세 배에 달한다. 골드만삭스도 이 같은 증가율을 제시했다.
사글림베네는 이어 "시장은 현재 이 같은 실적 모멘텀을 바탕으로 움직이고 있다"며 "트럼프의 관세가 실물 경제 데이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올가을쯤부터 나타나기 시작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뉴욕의 스파르탄 캐피털 증권 수석 시장 이코노미스트 피터 카딜로는 "시장 랠리가 지금 다소 지친 모습"이라며 "우리는 기업 실적을 기반으로 상승해 왔고, 시장은 그동안 관세 관련 뉴스 대부분을 무시해 왔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사퇴 의사를 밝힌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방준비제도(연준) 이사의 후임자로 관세정책 책사로 불리는 스티븐 미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을 지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을 통해 "내년 1월 31일까지 공석이 된 연준 이사 자리에 미란을 임명하기로 했다"면서 "우리는 (연준 이사 14년 임기를 지낼) 상근 후임자를 계속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은 또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가 제롬 파월 연준 의장 후임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월러 이사는 지난달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아직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연락을 받은 적은 없지만, 만약 대통령이 의장직을 제안한다면 수락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개별주 중에서는 건설 및 중장비 제조업체 캐터필러가 관세 충격을 경고하면서 2.4% 하락했다.
세일즈포스도 3.33% 하락하며 다우지수 하락을 이끌었고, 사이버보안 기업 포티넷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교체 주기가 예상보다 작을 것이라고 암시하면서 오후 들어 소프트웨어 섹터 전반이 약세를 보였다.
또 다른 하락 주도 종목은 제약회사 일라이 릴리로, 비만 치료제의 후기 임상 결과가 투자자들의 기대에 못 미치면서 14.14% 급락했다. 이는 월가의 예상을 웃도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연간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한 것에도 불구한 결과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