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70대 이상 제외 전 연령대에서 우위
PK에서 앞서가고 TK서도 34.5% 기록 '선전'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3자 대결 구도'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49.9%로 나타났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는 36.6%,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는 8.7%를 기록했다.
지난 18일 제21대 대통령선거 1차 TV토론 이후에도 '1강·1중·1약'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9~20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 시스템) 조사 결과, 3자 가상 대결에서 이재명 후보를 찍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49.9%로 집계됐다.
![]() |
이어 김문수 36.6%, 이준석' 8.7%였다. 기타후보 2.2%, '없음 2.0% , '잘 모름'은 0.7%였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이재명 후보 지지율이 다른 후보들보다 높았다. 특히 이재명 후보는 40·50·60대에서 과반 지지율을 기록했다.
김 후보는 70대 이상에서 59.0%로 유일하게 이재명 후보를 앞질렀다. 이준석 후보는 만18세~29세와 30대에서 각각 24.2%, 19.3%를 얻으며 분투했다.
지역별로도 이재명 후보의 전국적인 강세는 비슷했다. '도지사 매치'로 평가되는 경기·인천 민심과 PK(부산·울산·경남) 민심도 이 후보에게 기울었다.
다만 '보수의 본산'인 대구·경북에서는 여전히 보수정당 후보인 김문수 후보가 55.4%를 기록, 이재명 후보(34.5%)를 따돌렸다.
'캐스팅보트'로 불리는 충청권(대전·충청·세종) 민심 역시 크게 벌어지지는 않았다. 이재명 후보 46.1%, 김문수 후보 41.5%, 이준석 후보 9.0%로 조사됐다.
서울에서는 이재명 후보 44.9%, 김문수 후보 39.2%, 이준석 후보 10.0% 등으로 조사됐다.
'무(無)당층'은 여전히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자신을 '지지정당없음'이라고 밝힌 응답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후보는 다름아닌 '없음(31.2%)'이었다.
투표일이 2주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도 무당층이 여전히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재명 후보는 28.0%, 김문수 후보는 27.5%의 지지를 받았다. 이준석 후보는 9.4%를 얻었다.
투표날 '적극적으로 투표하겠다'고 밝힌 응답자 가운데 53.1%는 이재명 후보를 선택했다. 36.6%는 김문수 후보였다. 이준석 후보는 7.7%였다.
'소극적으로 투표하겠다'고 응답한 인원 가운데는 41.8%가 김문수 후보를 지지했다. 이재명 후보는 28.4%, 이준석 후보는 17.5%로 나타났다.
'소극적 기권' 응답자는 김문수 후보가 39.0%, 이재명 후보는 20.6%, 이준석 후보는 10.7%였다. '적극적 기권' 응답자는 44.3%가 이재명 후보였고, 이준석 후보는 5.0%, 김문수 후보는 0%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지난 18일 열린 대선후보 1차 TV 토론 결과 이재명 후보는 소폭 하락했고, 김문수와 이준석 두 후보의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박상병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교수는 "대한민국 정치지형을 보수가 35%, 진보가 35%, 중도가 30%라고 봤을 때 중도층의 2/3가 이미 민주당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라며 "2~3%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선 득표율은 이런 흐름대로 갈 것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0%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