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광로'처럼 당내 경선 경쟁 후보 등 대거 합류
공동선대위원장에 김용태 임명, '청년'에 방점
공약개발단장에 '사퇴 촉구'한 윤희숙 여연원장
[서울=뉴스핌] 이바름 박서영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후보를 중심으로 꾸려진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는 '화합'의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 김 후보가 언급한 '용광로'처럼 당내 경선에서 경쟁했던 후보들이 대거 합류했으며, 선거캠프 인사들과 함께 당 의원들을 고루 기용하는 통합과 화합의 인선이라는 평가다. '젊음'도 앞세웠다.
선대위의 얼굴인 공동선대위원장에는 7명의 전·현직 의원들이 이름을 올렸다. 권성동 원내대표와 주호영 국회부의장, 경선에서 겨뤘던 나경원·안철수 의원과 양향자 전 의원, 황우여 전 선거관리위원장, 그리고 국민의힘 최연소 국회의원인 김용태 의원이 합류했다.
![]() |
[대전=뉴스핌] 최지환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2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현충탑에서 참배하고 나오고 있다. 2025.05.12 choipix16@newspim.com |
주목할 점은 김 후보와 불편한 관계에 있는 인사들이 '용광로 김문수'에 흡수통합됐다는 것이다. 권 원내대표는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함께 '단일화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고, 나 의원 등은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서 김 후보와 치열하게 다퉜다. 이들 모두 김 후보를 중심으로 꾸려진 선대위와 뜻을 함께 하기로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중량감 있는 인사들 가운데 김용태 의원의 공동선대위원장 임명은 '청년'이라는 가치를 방점에 둔 대표적 인선이다. 김 의원이 비대위원장에 내정됨과 동시에 공동선대위원장도 맡게 되면서 중장년층이라는 전통적인 보수정당의 색채를 다채롭게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 후보 선거캠프에서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활동했던 장동혁 의원은 상황실장으로 합했다. 상황실에는 일정단장 강명구 의원, 메시지단장 조지연 의원, 전략기획단장 박준태 의원, 이슈대응단장 이재성 여의도연구원 부원장이 합류했다.
대변인단은 당과 경선캠프의 '스피커'들이 합쳐졌다. 단장인 신동욱 당 수석대변인을 필두로 박성훈 의원, 이충형·조용술 전 대변인, 박보경 전 아나운서가 합류했다. 이충형, 조용술, 박보경 대변인은 각각 김 후보 캠프에서 활동한 인사들이다. 공보단장은 강민국 의원, 공보수석부단장은 최은석 의원이 역할을 수행한다.
정책총괄본부는 당 핵심 인사들이 주축이 됐다. 정책총괄본부장은 김상훈 당 정책위의장이 담당한다. 공약개발단장은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이다.
윤 원장은 김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단일화와 관련해 김 후보의 사퇴를 촉구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이번 중용은 의미가 있다. 그는 "단일화할 마음이 없다면 김문수 후보는 후보 자격을 내려놓고 길을 비키라"라며 비판했었다.
홍보본부는 전 시민사회수석이었던 강승규 의원이 위원장을 맡고, 원내대변인 '투톱'인 서지영 의원과 박수민 의원이 각각 홍보기획단장과 뉴미디어콘텐츠단장을 맡아 활동한다.
![]() |
미디어본부는 3선의 김정재 의원이 본부장을 맡아 이끌어간다. 미디어본부에는 언론인 출신인 이상휘 의원과 김장겸 의원이 각각 국민사이렌센터장과 언론모니터링단장으로 활동하면서 전문성을 살릴 예정이다.
김 후보의 '복심'으로 평가 받는 김재원 캠프비서실장은 후보비서실장으로 이름만 바뀌며 계속해서 김 후보 곁을 지키게 됐다. 김 실장은 김 후보와 단 둘이서 경선캠프를 시작했다고 이야기가 나돌만큼 '핵심 중의 핵심'이다.
실패하긴 했으나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라는 중차대한 업무도 김 실장이 실무를 맡아 주도했다. 김 실장은 남은 20여 일동안 김 후보의 지근거리에서 대소사를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비서실부실장은 탈북민 출신인 박충권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선대위는 6개의 '후보직속위원회'를 둬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현안에 대응할 계획이다. 나경원 국가대개조위원장, 조배숙 국민통합위원장, 송언석 대한민국경제재건축위원장, 김성원 홍보전략자문위원장, 유상범 입법농단저지위원장, 김미애 약자와의동행특별위원장으로 임명됐다. 정부혁신단장으로는 조승환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righ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