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 관계자 "학종, 다이아수저 전형…모든 게 돈"
자사고, 강남 일대선 전직 입학 사정관 초빙해 생기부 관리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학종은 정말 ‘돈’이 없으면 갈 수가 없다.”
학생들의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해 도입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이 여전히 ‘금수저 전형’이란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사실상 아이의 실력보다는 부모의 재력으로 대입이 결정되다 보니, 교육계 현장에선 금수저를 넘어 ‘다이아수저 전형’이라는 날선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27일 강남의 학원가. 학종의 '다이아몬드 수저 전형' 논란에 대해 한 사교육업계 관계자는 “학종은 전공 적성을 보기 때문에 중학교 3학년 때부터 준비를 해야 하는데 부모의 정보나 재력이 없으면 전형을 준비 시키는 것 자체가 불가능 하다”고 잘라 말했다.
10월 둘째 주부터 12월까지 각 대학은 학종 전형에 들어간다. 그만큼 학종에 쏟아붓는 부모들의 '성의'도 커진다. 교육계 관계자는 “강남에 위치한 고등학교에선 전직 입학 사정관을 방과 후 수업에 초빙해 학생들 생활기록부를 관리한다”며 “기숙형 자사고의 경우 학생이 원하면 생활기록부를 매달 코칭해주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걸 담임한테 넘기면 담임이 다시 생기부에 '복붙(복사‧붙여넣기)'한다”며 “돈 있는 집안 애들이 절대적으로 유리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강남 일대에선 학종 고액 컨설팅도 유행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직 입학 사정관이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한 학생을 3년 동안 컨설팅 해준다”며 “학종은 전공 적성이 중요한 만큼 공을 들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2~3개월 마다 만나서 생기부 관리를 해주고 필요하면 자소서 대필도 해준다”며 “완벽하게 대학교 들어갈 때가지 꼼꼼하게 관리를 해준다”고 덧붙였다. 그가 이야기한 대필 가격은 약 1000만원 선이다.
학원에서 벌어지는 입학 사정관 강의도 암암리에 찾아볼 수 있다. 보습학원에서도 전직 입학 사정관을 초빙해 강의를 연다.
사교육 업계 관계자는 “학생들에게 ‘입학 사정관’이란 단어는 굉장히 매력적”이라며 “학생들이나 학부모가 맹신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학이 필요로 하는 내신만 받쳐주고 입학 사정관이 생기부만 봐주면 십중팔구 해당 대학은 합격한다”며 “모든 게 돈이니까 문제”라고 덧붙였다. 또 “강북의 경우 자소서는 50만원, 모의 면접은 30만원선”이라며 “강남은 자소서 100만원에 면접은 최소 50만원”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사교육업계 관계자는 “전직 입학 사정관을 초빙해 설명회를 여는데 보통 1~2시간 정도 한다”며 “약 50만원의 비용을 학원에서 지불하는데 주요 대학 입학 사정관 출신이면 가격은 더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안선회 중부대 교육학과 교수는 “학종은 이미 불공정과 깜깜이 전형을 넘어 역대 가장 불평등한 전형이 됐다”며 “공정성과 정의를 추구하는 문재인 정부에서 추구해야 될 전형이 아니라 당장 폐기해야 할 정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 교수는 특히 “서울 주요 8개 대학의 재학생 72.5%가 상류층인데 문재인 정부와 진보교육계 누구도 이를 문제 삼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km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