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2036년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작업이 표면적으로는 추진되고 있지만, 실제 준비 상황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라는 비판이 국회에서 나왔다. 전북도가 핵심 절차인 타당성 조사를 연기하고도 구체적인 사유를 밝히지 않았으며, 대한체육회 또한 주무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은 27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전북도가 사전 타당성 조사 시점을 당초 9월에서 12월로 미뤘지만, 그 이유나 수정 방향을 국민에게 설명하지 않았다"라며 "유치 추진의 투명성이 전혀 확보되지 않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 |
|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 [사진 = 정연욱 의원실] |
정 의원실은 전북도에 유치계획 변경 과정에서 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등과 나눈 협의 자료 일체를 요청했으나, 전북도는 "관련 문서가 없다"라고 회신했다. 그러나 대한체육회 내부 문건을 확인한 결과, 올해 3월부터 9월 사이 전북도·체육회·문체부·IOC 간 회의가 최소 다섯 차례 진행된 사실이 드러났다.
회의에서는 IOC가 "경기장과 선수촌이 지나치게 분산돼 있다"라고 우려를 표했고, 체육회는 "현실 가능한 수준으로 계획을 수정해야 한다"라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문체부는 "IOC와의 사전 협의를 통해 타당성 조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럼에도 전북도는 해당 협의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정 의원은 "분명한 회의 기록이 있음에도 '없다'고 한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며 "대한체육회 또한 이를 알고도 공개하지 않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전북도가 제출한 올림픽 유치계획서의 내용 역시 부실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전북도는 총사업비 5조3312억원, 국비 지원 비율 11%, 경기장 51개소 배치 등의 수치를 명시했지만, 정작 IOC는 아직 개최 요건이나 가이드라인을 공식적으로 전달하지 않은 상태다.
게다가 전북도는 '대회 7~9년 전 개최지 선정'이라는 문구를 임의로 삽입했으나, IOC는 아직 개최지 결정 시점을 정하지 않았다. 심지어 IOC가 전북 측에 "2036년이라는 특정 연도를 표기하지 말라"고 요청했음에도, 전북도는 '2036 전주올림픽'이라는 명칭을 유지하며 홍보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 의원은 "올림픽 유치는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철저한 준비에서 시작된다"라며 "지자체가 사실관계를 숨기고 체육회가 뒷짐만 지고 있는 한 전주올림픽 유치는 구호에 그칠 뿐"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대한체육회는 조율기관으로서 유치 추진 일정, 전문가 자문 결과, 계획 수정 방향 등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wcn0500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