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24일 'AI 스마트제조혁신 3.0' 발표
AI 도입률 10%·산업 재해 20% 감축 목표
SaaS형 스마트공장·제조AI 24 플랫폼 추진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정부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인공지능(AI) 중심의 스마트제조혁신에 나선다. 중소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10%까지 높이고, AI 기반 스마트공장 1만2000개를 보급하겠다는 청사진이다. 산업 재해율 20% 감소와 제조 AI 전문기업 500개 육성 등도 목표로 제시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자체적인 AI 도입이 가능한 대기업과 달리 중소 제조기업은 비용 부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문제의식 아래, 정부 차원의 지원으로 중소 제조기업의 AI 도입을 돕기 위해 이번 전략을 마련했다.
◆ 창업부터 해외 진출까지 맞춤 지원…'제조 로봇' 보급 지원
이번 전략에서 정부는 ▲중소 제조기업 AI 대전환 ▲스마트제조산업의 전략적 육성 ▲제조 AI 내재화를 위한 스마트제조혁신 인프라 확충 등 크게 세 가지 비전을 제시했다.
먼저 정부는 중소 제조기업의 AI 대전환을 위해 기업의 디지털 수준에 맞춘 단계별 맞춤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 스마트공장 등 디지털 기반 위에 버티컬 AI를 단계적으로 적용하고, 사전·사후 컨설팅을 강화하는 등 전 주기 지원 체계를 수립한다.
![]() |
|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성장전략 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20gdlee@newspim.com |
중소 제조기업이 AI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함께 친환경·친노동적인 제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성과 평가에 '환경성'과 '안전성'을 반영한다. CEO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산업 안전 교육도 확대할 방침이다.
공급망·지역·업종별 특화 전략도 병행한다. 대기업이 보유한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한 상생형 AI 공장을 늘리고, 개별 기업이 아닌 공급망 단위로 전환을 지원한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기획하고 정부가 뒷받침하는 지역 특화 모델을 확산시키며, 식품·화장품 등 업종별 대표 사례를 발굴할 예정이다.
소기업과 소공인의 부담을 낮추기 위해 구독형 서비스(SaaS) 방식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본격 추진한다. 이를 통해 초기·유지 비용 부담을 줄이고, 제조로봇 보급과 소공인 지원을 함께 확대할 방침이다.
스마트제조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법적·제도적 기반도 다진다. 정부는 스마트제조 기술기업과 관련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할 예정이다. 전문기업 지정과 AI 역량평가, 맞춤형 컨설팅 체계 등도 구축한다.
아울러 'AI 기반 스마트제조 기술로드맵'을 수립해 필요한 연구·개발(R&D)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연구 성과가 상용화로 이어지도록 연계 지원한다. 창업부터 투자, 판로, 해외 진출까지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제조 데이터셋' 민간 공개 추진…원스톱 지원 플랫폼 구축
정부는 제조 데이터 표준화와 인프라 확충에도 나선다. 핵심 장비에는 국제표준인 '자산 관리쉘(AAS)'을 적용해 제조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제조 데이터셋 1000개를 확보해 민간에 공개한다.
AI 전문 인력 양성도 추진한다. 연구와 실무, 재직, 구직 단계 전반에서 중소 제조 핵심 인력의 AI 리터러시를 높이는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할 예정이다. 중앙정부와 민간, 지역 간 협력 체계를 강화해 디지털 전환과 AI 전환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제조AI 24' 플랫폼도 구축한다.
![]() |
| 정부세종청사 중소벤처기업부 전경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3.04.19 victory@newspim.com |
이번 전략을 통해 정부는 중소 제조기업의 일자리 질을 높이고, 글로벌 선진국 수준의 스마트제조 기술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소 제조기업 1만2000개사를 대상으로 AI 중심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해 현재 1% 수준인 AI 도입률을 1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AI 도입을 통해 산업 재해율을 20% 감소시키는 등 중소 제조기업의 일자리 질 개선에도 초점을 맞춘다. 아울러 제조AI 전문기어 500개사 육성을 통해 글로벌 선진국 수준의 스마트제조 기술력 확보를 도모할 계획이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혁신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생산 방식을 혁신해 제조 경쟁력을 높이고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인력난을 완화하는 등 AI 대전환 시기에 필수적인 생존 전략"이라며 "스마트제조혁신 3.0을 통해 중소 제조기업이 AI를 적극 활용해 제조 생산성을 높이고 산업재해를 예방해 청년이 찾아오는 '진짜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ran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