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신임 부행장 3명 등 집행간부 인사
여신심사본부장 승인에 부당대출 책임론 지적도
일부 직원 반발에 "승진 막을 정도 아니다" 주장도
은행측 "정상적인 절차 거쳐, 규정상 문제없다"
[서울=뉴스핌] 정광연·송기욱 기자 =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이 신임 부행장 승진 인사를 단행한 가운데 이에 대한 내부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부당대출 관련 여신심사 업무를 총괄했던 인물이 부행장 승진 명단에 포함되면서 부당대출 책임론이 다시 확산되는 상황이다. 다만 승진을 막을 정도는 아니라는 반론도 적지 않아 당분간 논란이 예상된다.
2일 뉴스핌 취재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지난달 30일 집행간부 인사(비정기)를 단행하고 3명의 본부장급 인사를 신임 부행장으로 승진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 |
[사진= IBK기업은행] |
부행장 승진이 비정기 인사로 이뤄지는 건 이례적이다. 기업은행은 부당대출 사태 여파로 지난 7월 인사에서 부행장 승진이 누락돼 연말을 앞두고 비정기 인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논란의 대상은 A 부행장이다. A 부행장은 여신심사부장을 거쳐 지난 2023년 하반기 여신심사본부장으로 승진했다. 여신심사 업무 총괄이라는 점에서 부당대출 사태 책임론에서 항상 거론됐던 인물 중 한명이다.
기업은행은 올해 초 확인된 882억원 규모의 부당대출 사태로 여전히 혼란을 겪고 있다. 아직 수사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경영진이 금융사고 책임을 직원들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내부 반발도 이어졌다.
이에 기업은행 노동조합은 김성태 행장을 비롯한 임원들의 책임있는 조치를 요구하며 경영진이 내놓은 임직원 친인척 정보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의 쇄신안을 거부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부당대출 책임론 중심에 섰던 인물이 징계가 아닌, 오히려 부행장으로 승진하자 일부 직원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현직 직원은 "여신심사 관련 직원들은 승인은커녕 욕만 잔뜩 먹고 있는데 담당 수장이었던 사람이 징계가 아닌 승진을 했다는 건 이해할 수 없다. 이런 결정을 한 경영진을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 은행측은 A 부행장이 여신심사 총괄이었던 건 맞지만 내사에서 부당대출 사태와는 관련이 없다는 점이 확인된만큼 승진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또한 이번 인사에 반발하는 목소리와 달리, A 부행장이 그동안 뛰어난 업무 역량을 꾸준히 검증받았고 내부 평가도 나쁘지 않다는 점에서 승진까지 반대하는 건 무리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또다른 직원은 "불만을 가진 직원들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퇴직 임원이 부당대출 사태의 핵심이라는 점이 이미 밝혀졌고 현직 본부장이 연루됐다는 증거도 없다. 논란이 있을 수는 있지만 잘못된 인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노조측은 이번 인사에 대해 "인사가 결정된지 얼마되지 않아 공식 입장을 내놓을 단계는 아니다"며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 정리중"이라고 밝혔다. 아직 노조가 나설 상황은 아니라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인사 논란에 대해 기업은행 관계자는 "일부 불만이 있을 수는 있지만 정상적인 인사 검증 과정을 거쳤다"며 "지난 7월 인사에서 부행장 승진이 누락돼 비정기 인사를 단행했다. 절차나 규정상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