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회 2사 상황에서 함덕주·백승현·이지강의 연속 제구 난조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LG가 뼈아픈 역전패를 당했다. 단순한 1패 이상의 충격이었다. 불펜진의 약점이 여실히 드러나며, 자멸에 가까운 투구 내용으로 무너진 경기였다.
24일 창원에서 열린 NC와의 원정 경기에서 LG는 6회 불펜 난조를 이기지 못하고 5-10으로 역전패했다. 이날 LG는 무려 9명의 투수를 마운드에 올렸지만 어느 누구도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특히 6회에만 6점을 내주면서 흐름을 완전히 빼앗겼고, 2경기 연속 두 자릿수 실점과 함께 KBO 역사에 남을 불명예 기록까지 떠안았다.
![]() |
LG의 불펜 투수 백승현. [사진 = LG] |
사실 경기 중반까지만 해도 LG의 승리 분위기였다. 2-3으로 뒤지던 LG는 5회초 상대 선발 구창모를 공략하며 4-3 역전에 성공했다. 이어 6회초 한 점을 더 보태 5-3으로 달아나면서 정규시즌 우승 매직넘버를 줄일 기회를 잡았다.
만약 남은 4이닝을 무난히 막아냈다면 이날 경기를 치르지 않은 2위 한화와의 격차를 3.5경기 차까지 벌릴 수 있었다. 하지만 '승리 굳히기'가 필요한 시점에서 불펜이 와르르 무너졌다.
6회말 시작과 동시에 위기가 찾아왔다. 김진성에 이어 마운드를 이어받은 이정용이 선두타자 김형준에게 안타를 허용했고, 오스틴 딘의 실책으로 더블플레이 상황이 번복되며 흐름이 꼬였다.
결국 2사 후 최원준에게 2루타를 허용한 이정용이 함덕주로 교체됐다. 그러나 함덕주는 제구 난조로 스트라이크존을 제대로 공략하지 못했고, 박건우를 볼넷으로 내보내 만루를 허용했다. 여기서 후속 타자 맷 데이비슨, 이우성에게도 볼넷을 허용해 순식간에 5-5 동점을 허용했고, 이후 등판한 투수들 역시 흔들리며 악몽 같은 장면이 이어졌다.
![]() |
LG의 불펜 투수 이지강. [사진 = LG] |
함덕주에 이어서 등판한 백승현은 아웃카운트 하나 잡지 못한 채 볼넷과 사구로 점수를 헌납했고, 이지강 역시 마운드에 오르자마자 김형준을 밀어내기 볼넷으로 내보냈다. 또 도태훈마저 초구에 밀어내기 몸에 맞는 볼로 내보내며 점수는 5-9까지 벌어졌다.
LG 불펜은 무려 7타자 연속 4사구를 기록하며 무너졌고, 이 과정에서 '6타자 연속 밀어내기 실점'이라는 최악의 신기록까지 남겼다. 이는 올해 5월 3일 인천에서 SSG가 NC 상대로 내준 5연속 밀어내기를 넘은 KBO 신기록이다. 동시에 연속타자 4사구 기록도 7개로 늘리며 불명예를 덧씌웠다. 종전 기록은 두산이 2021년 9월 11일 잠실 LG전에서 세운 6개의 4사구였다.
LG는 이후 분위기를 반전시키지 못했다. 타선은 추가 득점에 실패했고, 불펜은 계속해서 흔들리며 경기 후반 내내 무기력하게 끌려갔다. 결국 5-10 완패. 앞서 삼성전 4-14 대패에 이어 2경기 연속 두 자릿수 실점이라는 수모를 당했다. 이날 LG 투수들은 NC 타선을 상대로 14안타와 9개의 4사구를 내주며 스스로 경기를 내줬다.
![]() |
LG의 불펜 투수 함덕주. [사진 = LG] |
LG 불펜의 부진은 최근 들어 더욱 두드러진다. 전반기까지만 해도 평균자책점 3.89로 리그 상위권을 유지했지만,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주축 불펜이 하나둘 흔들렸다. 이날 경기를 앞두고 9월 불펜 평균자책점이 이미 6.65였는데, 이번 대량 실점으로 수치는 더욱 치솟게 됐다. 염경엽 감독이 마땅한 대안을 찾지 못하는 가운데 불펜진의 불안정함은 시즌 막판 최대 고민거리로 떠올랐다.
현재 LG는 여전히 리그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2위 한화와의 격차가 2.5경기 차까지 좁혀졌다. 불펜의 붕괴가 계속된다면 1위 수성은 물론, 가을야구에서도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시즌 막판 중요한 일정을 앞두고 LG 마운드의 재정비가 절실하다.
wcn050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