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작업비' 명칭을 '커스터마이징 작업비용'으로 변경
AI 사업 유형 세분화…세부 작업 항목 구체화로 현실성 강화
정부 혁신방안 반영한 데브옵스 대가기준 신규 마련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가 11일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2025년 개정판을 발표했다. 이번 개정판은 지난해 신설된 AI 도입 대가체계의 핵심 항목 중 하나인 '전문작업비' 명칭을 '커스터마이징 작업비용'으로 변경하고, 세부 작업 요소를 구체화한 것이 특징이다.
KOSA는 커스터마이징 사업 유형을 기본형, 데이터형, 모델형으로 세분화하고, 각 유형별로 요구사항 분석, 설계, 데이터 구축, 모델 구현·학습, 검증 및 안정화 등 주요 작업 항목을 명시했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 AI 사업의 과업 범위와 비용 산정의 현실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 5월 정부가 발표한 '대규모 정보시스템 구축체계 혁신방안'에 맞춰 데브옵스(DevOps) 방식 확대를 반영한 별도 대가기준을 마련했다. 개발비는 기능점수 방식, 운영·유지관리비는 투입공수 방식으로 산정해 합산하도록 했으며, 다수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관리하는 통합사업의 경우 업무 범위와 책임을 명확히 정의했다.
![]() |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로고. [사진=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
KOSA 측은 "AI사업은 시장과 제도의 정합성을 조율하는 과도기에 있는 만큼 지속적인 대가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며 "비용구조와 산정기준에 대한 연구와 의견 수렴을 거쳐 가이드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겠다"고 밝혔다.
개정판은 KOSA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