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일, 인프라부터 모델·서비스 적용까지 자체 역량 보유
해외 레퍼런스 기반 B2G·글로벌 사업 확장
오픈소스 모델 병행해 서비스 품질·효율 극대화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가 데이터센터와 GPU,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국내외 소버린 AI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AI 기술을 자사 서비스 전반에 적용하고, 오픈소스 모델을 병행해 서비스 품질과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해외 레퍼런스를 확보해 글로벌 B2G 사업 확장에도 속도를 낸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8일 열린 2025년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네이버 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 구축, GPU 운용, 독자적인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그리고 이를 서비스에 직접 적용한 경험까지 보유한 국내 유일 사업자"라며 "국내 정부 사업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소버린 AI 분야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자체 개발한 '하이퍼클로바X'의 성능 향상에 주력하는 동시에, 서비스 품질과 효율 극대화를 위해 각 서비스에 최적화된 오픈소스 모델도 병행 적용하고 있다. 최 대표는 "AI 전략은 모델 개발에 그치지 않고, 이를 검색·쇼핑·로컬·금융 등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적용해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사진은 지난해 11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통합 콘퍼런스 '단 24' 현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발표 중이다. [사진=네이버] |
네이버는 이미 해외 레퍼런스를 확보한 만큼, 글로벌 B2G와 기업용 시장 진출도 강화한다. 최 대표는 "국내에서 쌓은 기술과 서비스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해외 정부와 기관의 AI 주권 수요에 대응하겠다"며 "네이버만이 제공할 수 있는 안정성과 신뢰성을 무기로 글로벌 시장을 넓히겠다"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