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버스와 임차택시 등 대체 교통수단 투입
주요 정류소에 탑승도우미 배치로 혼란 방지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전국 시내버스 노조가 임금·단체협상 결렬에 따라 오는 28일 첫차부터 대규모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경남 창원시는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이종근 창원시 교통건설국장은 27일 오전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시내버스 노조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하고 대체 교통수단 투입 등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파업에는 관내 14개 시내버스 회사 중 준공영제 운송사 9개 업체, 669대가 참여할 전망이다. 마을·겸업버스 5개사 36대는 정상 운행된다.
![]() |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이종근 경남 창원시 교통건설국장(오른쪽)이 27일 오전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시내버스 노조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브리핑하고 있다. 2025.05.27 |
시는 전세버스 170대(40개 노선)와 관용버스 10대(3개 노선)를 긴급 투입해 주요 버스노선과 읍·면 지역 환승거점을 연결하는 비상수송체계를 마련했다. 모든 대체버스는 무료로 운행된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시내 7개 노선에 임차택시 180대, 외곽 8개 구역에 호출형 택시 150대를 각각 투입한다. 임차택시는 1000원의 저렴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호출은 온다콜센터를 통해 가능하다.
시는 임시노선 안내와 현장 혼란 방지를 위해 탑승도우미 340명, 현장 지원인력 40명을 주요 정류소에 배치한다. 이들은 대기·탑승 안내와 노선 정보를 제공해 현장 혼란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오전 6시부터 밤 10시까지 비상수송대책 안내 콜센터(225-3000)를 운영해 임시노선 정보를 제공한다. 상세 노선과 시간표는 시청 홈페이지와 창원버스정보시스템(BIS)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초·중·고의 등교시간을 오전 10시까지 늦추어 줄 것을 경남교육청과 협의하고 있다.
이종근 교통건설국장은 "시민 이동권 보장을 최우선으로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며 "대체교통수단과 임시노선을 반드시 확인하고, 출퇴근 시 자가용, 카풀, 도보, 자전거 등 다양한 방법을 병행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창원시내버스노동조합은 지난 23일 파업 찬반투표에서 85.6%의 찬성으로 쟁의권을 확보했다. 조정기한 마지막 날인 27일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28일부터 전면 파업이 예고됐다.
이번 협상의 핵심 쟁점은 통상임금 문제다. 사측은 통상임금에 해당하는 수당을 포함할 경우 인건비 부담이 급증해 운수업체 다수가 경영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소송 규모도 수백억 원에 달해 합의를 위한 대화 진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노조는 대법원 판결에 따라 통상임금을 적용하고 ▲기본급 8.2% 인상 ▲정년 연장(63세→65세) 등을 요구하며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통상임금과 기본급 인상이 모두 반영될 경우 올해 임금 상승률은 최대 30%까지 오를 전망이다. 이에 따른 추가 비용은 300억원 상당으로, 시민 세금을 통해 충당해야 한다.
창원시는 기존 850억원을 시내버스에 지원하고 있으며 여기에 300억원을 더하면 재정부담은 1050억 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