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설계검증 업무 추진을 위해 '온라인 설계검증 시스템'을 개발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12일 밝혔다.
![]() |
온라인 설계검증 시스템 [사진=LH] |
온라인 설계검증 시스템은 설계 검토용 도서 배포부터 검토 의견등재·평가, 검토이력 추적관리 등 설계 검증 전 과정을 비대면으로 처리하도록 지원한다. LH, 설계사, 전문가 간의 실시간 협업을 가능케 해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 수행도 돕는다.
LH는 지난해 건설기술정보시스템(COTIS) 내 시스템을 구축하고 남양주왕숙 A2 블록 등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진행했다. 이를 토대로 시스템 보완을 마친 뒤 5월부터 공공주택 신규 착공 지구 전 공종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업무를 우편, 이메일 등이 아닌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어 설계검증 검토 기간이 종전 50일에서 35일로 최대 30% 줄어들 것이라는 게 LH의 설명이다. 아울러 올해 사업승인·착공 합계 물량이 16만가구 수준이기에 약 3만건에 달하는 설계검증 검토 의견 역시 효율적으로 관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온라인 설계검증 시스템으로 비대면 업무가 가능해지면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설계검증 업무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LH는 반복되는 설계 오류 등 설계 개선 사항은 매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주기적인 설계사 교육을 통해 공공주택 설계도서의 품질수준도 높여갈 계획이다.
오주헌 LH 공공주택본부장은 "이번 온라인 설계검증 시스템은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다자간 동시 협업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대면 부담도 덜어 보다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설계검증 업무 수행을 도울 것"이라며 "앞으로도 고품질 공공주택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다양한 업무혁신을 추진해 가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