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 위치한 쌍용차·금호타이어...부지가격 '쏠쏠'
매각 중인 쌍용차...업계선 용도변경시 가격↑ 기대
신공장 건설 금호타이어...이전 허가 안나 하세월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쌍용자동차·금호타이어 등 자동차 업계가 공장 부지 매각 이슈에 둘러싸였다. 역세권에 위치한 공장 덕분에 관심을 끌고 있는 상황인데, 이해관계자들 사이 부지를 놓고 셈법이 앞서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기업 회생 절차가 진행 중인 쌍용차와 신공장 건설을 앞둔 금호타이어의 현 공장 부지가 높은 가격에 평가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두 역세권에 있어 아파트나 상가 등이 들어서기 좋은 위치란 점에서다.
[사진=쌍용자동차] |
◆ 쌍용차 인수 러브콜...부동산 덕?
매각을 앞둔 쌍용차는 지난 달 국내외 투자사 9곳에서인수 의향서(LOI)를 제출하면서 예상 밖 흥행을 기록했다. 당초 ▲에디슨모터스(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 ▲케이팝모터스(케이에스프로젝트 컨소시엄) ▲카니널 원 모터스 등 소규모 지원을 예상했던 만큼 이 같은 결과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
업계선 평택 칠괴산업단지내 평택공장(85만㎡) 부지 개발 기대가 영향을 미쳤을 거란 분석이 나온다.
지제역 수서평택고속선(SRT 정차역)에서 직선거리 2.4km~3km 근방에 위치한 평택 공장은 동삭 교차로를 중심으로 사방이 아파트 단지로 개발돼 있다. 맞은편에 인접해 있는 신축 더샵지제역 센트럴파크 3BL은 매매가가 5억에서 5억5000만원을 호가하고 있다. 또 다른 아파트인 평택지제역 동문굿모닝힐맘시티 1단지 또한 4억 초반대에 거래가 진행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만약 주거지로 용도 변경을 진행한다면 부동산 가격은 매각 과정에서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현재 쌍용차 부지는 9000억원 가량으로 평가됐으나, 업계는 용도변경 시 1조5000억원 이상으로 불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부지 매각 작업은 인수 의향서를 제출한 후보 중 최종 인수자가 진행하게 된다. 쌍용차가 부지 매각과 신공장 건설을 동시에 진행하겠다고 밝혔지만, 새 주인의 의사결정에 따라 계획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 정장선 평택시장은 "쌍용차 공장 이전에 따른 개발 이익을 환원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부동산 과열에 제동을 걸었지만, 업계 관계자는 "쌍용차의 공익 채권 3900억원과 신공장 건설 비용 등을 따져봤을 때 높은 부동산 가치는 인수자 입장에서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요소"라고 귀띔했다.
[사진=금호타이어 광주공장] |
◆ 금호타이어, 신공장 건설...정치권 결정에 하세월
반면 금호타이어는 신공장 건설이 시급하나 광주 공장 부지 매각 절차가 늦어지고 있어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오는 9월경 새로운 부지를 계약한 뒤 연말에 부지를 완전 매입할 계획이었다. 벌써 3년 전에 발표한 계획이지만 별다른 진척이 없는 상태다.
금호타이어 광주 공장은 지난 1972년 지어져 시설 노후화가 진행 중이다. 기존에 생산하는 타이어의 품질 향상을 꾀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전기자동차 등 미래차에 발맞춰 새롭게 개발한 타이어를 생산하는 것도 적극 나서기 힘든 환경이다.
쌍용차와 마찬가지로 광주 공장 또한 광주송정역 호남선(KTX 정차역) 전면에 위치해 있다. 부지는 42만㎡로 광주송정역 광주1호선을 경계로 맞은편엔 주거 및 상업지역이 분포해 있다. 광주 공장 뒤편의 소촌산단 삼거리 또한 모두 주거지역이다. 업계선 부지 매각 시 2조원 안팎의 자금이 융통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금호타이어가 이전하기 위해선 정치권에서 빠른 결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다. '관내 이전'을 주장하던 광주시는 지난 9일 "사업자 입장을 존중하겠다"고 했지만, 현재까지 부지 매각을 위해 필요한 용도변경 등은 진행되지 않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지난 1월 함평군에 빛그린산단 입주의향서를 제출하고 행정절차를 기다리고 있다.
금호타이어 관계자는 "공장 이전은 광주 시와 논의 중이다. 용도 변경 허가가 떨어져야 부지 매각을 하고 공장 이전을 할 수 있다"라며 "시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호타이어의 올해 가장 큰 이슈는 공장 이전이다. 미래 기술 도입을 위해서도 일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 공장 이전에 신공장 건설까지 고려하면 신기술 적용까지 시간이 더 걸릴 수밖에 없다"면서 "당초의 생산 계획을 맞추기 위해서도 신공장 건설 문제가 연동돼 있기 때문에 빠른 결정이 요구된다"고 했다.
giveit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