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뉴스핌] 남효선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구광역시당 동물보호특별위원회(동물보호특위)가 지역 내 동물원 시설 평가와 동물 상태 사육 환경 조사 필요성을 제기하고 대구지역 동물원 전수조사를 촉구했다.
동물보호특위는 16일 자료를 내고 "최근에 문제가 된 동물원 이외에도 대구지역에는 동물원과 수족관 등 7곳이 운영 중에 있다"며 " 유사 문제가 또 발생되기 전 전수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됨에도 대구시는 현재까지 어떠한 조치도 취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 |
동물학대 논란이 제기된 대구시 소재 A동물원의 남겨진 일본원숭이[사진=민주당대구시당] 2021.02.16 nulcheon@newspim.com |
동물보호특위는 또 "앞서 동물보호특위 관계자들이 문제가 된 동물원에 대한 현지 확인 결과 동물들의 상태와 환경은 매우 열악해 한시라도 좀 더 나은 환경에서의 보호가 절실하다"고 지적하고 "해당 지자체 담당자들과 연락을 취하며 대책 마련을 위해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동물보호특위는 "현재 우리나라는 현행법상 서류상 최소 요건만 갖추면 동물원 또는 수족관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등록제에서 허가제로 전환해야한다는 지적이 수 차례 제기되고, 법안도 발의됐으나 여전히 채택되지 않고 있다"고 현행 법 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 "더 많은 동물들의 희생을 막기 위해서는 외국의 사례처럼 동물원 면허제(허가제)와 검사관 제도를 도입해 야생동물 사육을 위한 면허 취득 교육과정을 이수케 하고,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주장했다.
임미연 동물보호특위원장은 "1년에 한 번씩 동물원 시설 평가와 동물들의 상태와 사육 환경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 최대한의 생태적 환경을 조성하고, 전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동물보호단체 비글구조네트워크가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해 대구 소재 A 동물원의 운영 상태를 사진 등으로 공개하며 동물 학대 논란이 일자 대구시는 지난 3일 해당 동물원에 대한 현장 점검을 벌이고 원숭이, 염소 등 동물 학대가 의심되는 부분에 대해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또 대구시는 지난 6일부터 시민구조봉사단과 함께 분변 치우기 등 A동물원에 대한 환경정비를 진행하는 한편 남겨진 동물을 설 명절 전후해 환경이 더 좋은 다른 시설로 이전해 관리하고, 즉시 이전이 어려운 낙타와 일본원숭이는 관계기관 및 동물원 측과 협의해 최대한 이른 시일 내 다른 시설로 이전 조치한다는 계획이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