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지수 약세 지속 위안 강세 기조 추세화
A주 시장엔 장기 호재, 외인 자금 유입가속
[뉴스핌 베이징 = 최헌규 특파원] 중국 위안화의 대달러 환율이 급락하면서 위안화 가치가 달러당 6.5위안까지 치솟았다.
강력한 강위안화 기조속에 역외 외환시장(홍콩) 위안화 가치는 9일 달러당 6.50위안의 관문을 넘어섰다. 위안화가 달러당 6.5위안대에 달한 것은 2018년 6월 이래 처음으로 위안화가치가 2년 6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10일 인민은행이 외환거래센터를 통해 고시하는 중간가 환율은 달러당 6.5476 위안을 기록했다. 시장 환율이 가파르게 떨어지는(위안화가치 상승) 가운데 전날(중간가 6.5311위안)보다 위안화 가치를 0.0165위안 끌어내린 것이다.
중국 4대 국유 상업은행인 중국은행은 리포트에서 위안화 가치가 달러당 6.5위안 시대에 접어든 것과 관련, 달러지수 약세와 미중 금리차 확대, 미국대선 종료, RCEP 체결 등을 위안화 강세요인으로 꼽았다.
중국의 2021년 성장율이 두자리수대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위안화 강세를 부추기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일부 전문가들은 2021년 위안화 가치가 달러당 6.2위안 대 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특히 위안화 가치 상승은 미국 달러지수 약세와 큰 연관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미 달러지수는 2020년 3월 20일 102.99를 최고점을 기록한뒤 5월 중순 이후 100 아래로 떨어졌다.
이와 맞물려 위안화 가치는 6월 이후 강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역외 홍콩시장 위안화의 대달러 환율은 2020년 6월초 7.1964위안에서 6.4995 위안 수준까지 올랐다. 반년만에 대달러 위안화 가치가 약 10%(9.6%)에 달하는 0.7000위안이나 뛰어오른 것이다.
[뉴스핌 베이징 = 최헌규 특파원] 중국 위안화가치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위안화 가치는 2020년 6월초 이래 급등세를 보이며 역외 환율 기준 12월 9일 까지 9%가 넘게 치솟았다. 2020.12.10 chk@newspim.com |
10만달러(약 1억800만 원)를 환전하는데 6개월 전에는 71만9000위안이 필요했다면 현재는 64만9000위안만 있으면 되는 것으로 10만달러 구입에 7민위안(약 1100만원)이 절감된다는 얘기다.
외환 시장 전문가들은 강 위안화- 약 달러추세에 대해 시장상황에 부합하는 것으로 달러 약세가 앞으로도 상상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본다. 채권투자 전문기관 핌코(PIMCO) 책임자도 2021년 세계경제 회복세와 함께 달러 가치가 추가로 하락할 것이라며 달러 보유를 축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은행 시티은행은 2021년 달러가 20% 추가로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고 파리은행은 1유로에 1.25달러로 달러 약세 진행이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도이치 은행은 2021년말 1유로당 1.30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 교통은행은 이번 '강위안화 약달러'의 주기적 추세가 2021년 4월까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동시에 향후 5~10년 기간 달러가 약세를 띠면서 비달러 자산, 즉 위안화 자산,A주,신흥시장, 황금, 비트코인 등의 자산이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증국 중인(中銀)증권 관계자는 중국 경제 펀더멘털이 위안화 강세를 지지하는 상황이라며 현재 중국 경제상황으로 볼 때 위안화 대달러 환율이 반등(위안화가치 하락)할 요인이 별로 없다고 밝혔다. 다만 이 관계자는 앞으로 위안화 환율의 변동성은 점점 더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위안화 가치가 단기에 크게 상승하고 있는데 대한 대책으로 QDII(국내 적격 투자자제도)의 외국 투자 한도를 확대하는 등 위안고(高) 압력을 완화하는데 힘쓰고 있다.
위안화 가치 상승은 대체로 중국 A주 시장에 호재로 여겨지고 있다. 강위안화 추세속에 수개월간 중국 증시에는 외국인 투자자금(홍콩을 통한 북상자금)이 늘어나는 추세를 나타냈다.
[뉴스핌 베이징 = 최헌규 특파원] 중국 인민은행 외환거래센터는 10일 위안화 고시환율을 달러당 6.5476 위안으로 고시했다. [사진= 외환거래센터 홈페이지 캡쳐]. 2020.12.10 chk@newspim.com |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