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해외 이탈 극심...기업들 사내 교육까지
[서울=뉴스핌] 정윤영 기자 = 국내에서 4차산업혁명 인재 확보에 비상등이 켜졌다. 한국 인공지능(AI) 인재 경쟁력이 미국보다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부는 뒤늦게 'AI 대학원' 신설을 주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계·업계에서 향후 4차산업혁명에 대한 우려가 크다. 4차산업혁명 성패는 AI인재에 달려 있는데, 그 이전에 교육 혁명부터 이뤄져야한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AI 관련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한국의 AI인재 경쟁력은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의 AI인재 경쟁력을 10으로 볼 때 한·중·일 가운데 중국이 8.1, 일본이 6.0, 그리고 한국이 5.2 순이었다.
![]() |
캐나다 연구기관 엘리먼트 AI 역시 지난해 공개한 주요국 AI 전문가 현황을 통해 한국 AI인재 가뭄을 시사했다.
이 통계에 따르면 미국 최고 AI인재는 1만295명에 달해 압도적 1위를 차지했고, 중국 2525명, 영국 1475명 등 뒤이었다.
눈여겨볼 점은 한국의 인재 풀이다. 통계에 따르면 한국 최고 AI인력수는 405명에 불과해 인도보다도 낮은 수준에 머물렀으며, 세계 1위인 미국에는 3분의1 수준에 그쳤다. 최고 AI인재란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석·박사 이상급 연구자를 일컫는다.
AI 전문 인력은 크게 ▲학술 연구 중심의 전문인력 ▲산업 현장에 있는 실무형 기술인력 ▲다양한 분야를 융합해 연구하는 전문 인력 등 3가지로 구분된다. 문제는 국내에서 수요보다 공급이 턱없이 모자란 수준이다.
◆ 정부, 뒤늦게 AI 대학원 지정..."대학원 12곳서 세계 최고 인재 양성할 것"
수 많은 지표들이 시사하듯 국내 4차산업혁명 관련 인재풀에 비상등이 걸렸다. 민간이 주도하는 미국, 그리고 정부가 주도하는 중국·일본 AI인재 양성과 달리 한국 정부는 갈피를 못잡고 있다는 지적이다.
상황이 이러하니 정부도 뒤늦게나마 인재 양성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정부는 지난해 'IT 강국을 넘어 AI 강국이라는 비전과 함께 AI국가 전략을 제시, AI 대학원 지원 사업으로 AI 대학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한국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고려대, 성균관대, 포항공대 등 5개 학교를 지정했다. 또 올해는 7개 대학원을 추가 지정해 각 대학원의 장점을 활용해 인재 양성에 나선다는 포부다.
해당 전략을 살펴보면, 정부는 "세계 최고 AI인재를 양성과 전국민 AI 교육 실현"을 표방, 이를위해 초중등 AI필수교육, 온오프라인 평생교육 등 소양 교육까지 계획한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AI전문 대학원을 만든다고해서 인재난이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정부는 아직까지도 4차산업 기술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서있지 않다는 비판이 우세한 상황이다.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은 "정부에서는 AI 인재 양성에 대해만 강조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4차산업혁명을 정부가 겉으로만 이해하고 있는데, 실제로 어떤 인력과 기술이 필요한지, 제대로 알고 필요한 인재를 키워나가는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4차산업혁명의 성패는 AI인재에 달려 있다. 현재만 놓고 봤을때 우리나라의 미래는 어둡기때문에 '교육 혁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오 회장이 지적한 교육 혁명은 체계적 수학 교육에서 출발한다. AI란 결국 수학을 기반으로 둔 프로그래밍인데, 국내에서 최근들어 수학에 대한 중요도가 더 낮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AI란 무엇인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국내 수학 교육 수준이 너무 낮아진 탓에 학부생이 졸업 후 AI 대학원이 들어선다 하더라도 AI인재를 키울 수 없는 실정"이라고 우려했다.
![]() |
◆ 해외 연구센터 늘리고 사내 교육까지...전문가 "교육 개혁 필수"
이런 정부의 혼란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건 결국 국내 기업들이다. 4차산업협명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상황에서 AI관련 인재는 꾸준히 줄어들거나 해외로 이탈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기업들은 해외로 AI연구소를 확대하거나 외국인 인력을 영입해오는 방식으로 연구개발(R&D)에 나서고 있는 상황.
오 회장은 "기업체에서는 당장 인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교육을 해야하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고 말했다.
실제로 삼성, 네이버 등 당장 AI인력이 필요한 기업들은 아예 해외로 눈을 돌린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한국 외 북미지역, 캐나다, 영국, 러시아 6곳에서 글로벌 AI 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네이버 역시 역시 지난해 세계 4대 인공지능(AI) 연구소 네이버랩스유럽을 인수한데 이어 베트남의 '카이스트'로 불리는 HUST와 산학 협력을 최근 공식화했다.
이들 기업이 해외로 연구소를 확대하는 이유는 미래 산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 전문 인력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우리의 글로벌 AI 연구 벨트가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에 맞설 수 있도록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 나갈 것"고 말했다.
이밖에도 삼성, 현대차, SK, LG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은 국내외에서 적극적인 인재영입 활동에 나서고 있으며, 이것도 모자라 사내에서 인재 육성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예컨대 삼성SDS는 '브라이틱스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운영, 대학과 연계해 AI 인재를 키우고 있다. 네이버도 AI 전문 '클로바 인턴십'을 통해 현장 실무에 적용되는 연구를 진행하고 국제 학술대회에서 논문을 발표하는 등 성과를 올리고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증강(AR)·가상현실(VR) 등 주요 IT 분야에서 부족한 국내 개발자는 향후 5년간 약 3만2000명에 달할 전망이다.
![]() |
[서울=뉴스핌] 정윤영 기자 = 네이버 AI연구센터 네이버랩스. [제공=네이버랩스] 2020.07.20 yoonge93@newspim.com |
yoonge9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