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스포츠 골프

속보

더보기

[김경수의 버디&보기] 몽고메리 "토너먼트용 골프볼 따로 쓰게 해야"

기사입력 : 2020년06월16일 10:01

최종수정 : 2020년06월16일 10:01

기존 볼의 거리 성능 80~85%로 줄인 새로운 볼 도입 주장

"캐리로 330야드 나가는 볼 규제 안하면 길이 1만야드 코스 필요"

니클로스 의견에 동조…디섐보 사례에 USGA·R&A 반응 주목

[서울=뉴스핌] 김경수 객원 골프라이터 = "토너먼트 볼과 일반 골프볼을 분리해야 할 시기가 왔다"

미국PGA 챔피언스투어에서 활약중인 콜린 몽고메리(57·스코틀랜드)가 14일 끝난 미국PGA투어 찰스 슈왑 챌린지를 보고 영국 BBC 라디오에서 한 말이다.

콜린 몽고메리(왼쪽)는 "선수들의 폭발적 장타력에 대응하기 위해 볼의 거리 성능을 줄인 토너먼트용 볼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른쪽은 지난주 미국PGA투어 찰스 슈왑 챌린지에서 드라이버샷을 평균 340.1야드 날린 브라이슨 디섐보다. [사진=골프다이제스트]

그 대회에서는 대니엘 버거(미국)가 연장전끝에 우승했지만, 브라이슨 디섐보(27·미국)는 나흘 내내 선두권에 포진하며 우승경쟁을 벌였다. 디섐보는 특히 이 대회에서 드라이버샷 평균 거리 340.3야드의 폭발적 장타력으로 주목받았다. 출전선수들의 평균치(300.3야드)보다 약 40야드나 멀리 날렸다. 디섐보는 챔피언에게 1타 뒤진 공동 3위를 차지했다.

디섐보는 이 대회에서 드라이버샷을 330야드 이상 날린 것이 열 아홉 차례나 된다. 4라운드 6번홀(길이 401야드)에서는 367야드를 보냈다. 볼은 페어웨이를 벗어났으나 티샷 후 홀까지 남은 거리는 73야드에 불과했다.

그의 시즌 드라이버샷 평균거리는 323.8야드로 이 부문 1위다. 이는 지난 시즌 이 부문 1위 카메론 챔프(317.9야드), 지난 2003년에 투어 최장타를 기록한 행크 키니(321.4야드)의 기록을 능가하는 것이다. 이 상태라면 디섐보가 올해 이 부문 새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몽고메리는 "예전에 잭 니클로스가 주장한 것에 나도 동의한다. 투어프로들이 대회에서 사용하는 볼의 거리 성능을 지금의 80~85%로 줄여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디섐보같은 장타자들 앞에 기존 골프코스들은 무용지물이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필드의 과학자'로 불리는 디섐보는 기존의 독특한 연구에다가 최근에는 몸무게를 9kg 정도 불리면서 드라이버샷 거리를 늘렸다. 웬만한 파4홀에서는 웨지로 어프로치샷을 한다. 그와 매트 쿠차(미국)를 비교하면 디섐보가 어프로치샷용 클럽으로 웨지를 잡을 때 쿠차는 8~9번 아이언을, 디섐보가 8번아이언을 잡을 때 쿠차는 4~5번 아이언을 잡는다고 한다.

몽고메리는 "디섐보의 드라이버샷 캐리(떠가는 거리)는 330야드에 달한다. 상상을 초월한다. 그러니 대부분 파4홀 어프로치샷을 샌드웨지로 한다. 그런 '미친 거리'를 잡는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기존 코스는 쓸모가 없어진다"며 "이제 토너먼트용 볼에 한해 그 성능을 줄여야 할 때가 왔다. 우리는 비용·공간·환경적인 측면에서 전장 1만야드짜리 코스를 건설할 수 없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요컨대 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들이 사용하는 골프볼은 지금보다 거리가 80~85%만 나가게끔 성능을 제한하고, 일반 골퍼들이 사용하는 골프볼은 지금처럼 두자는 의견이다. 골프볼이 두 가지 스펙으로 나뉘는 것이다. 물론 이는 세계 골프규칙을 관장하는 미국골프협회(USGA)와 영국골프협회(R&A)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두 기구는 지난 2월 '디스턴스 인사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거리와의 전쟁에 나서겠다고 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주춤한 상태다.

토너먼트용 볼의 거리 성능을 20% 줄이면 올시즌 디섐보의 드라이버샷 평균거리는 259.04야드가 된다. 올해 미국PGA투어프로들의 평균 거리는 296.4야드인데, 이는 237.12야드로 줄어들게 된다. 7200야드 안팎으로 조성되는 기존 코스로도 얼마든지 선수들의 변별력을 측정할 수 있는 거리다. ksmk7543@newspim.com

 ◆ 브라이슨 디섐보의 시즌별 드라이버샷

                    ※단위:야드,%. 16일 현재

------------------------------------------

시즌     평균 거리     정확도

------------------------------------------

2017 299.4(45위)  58.34(124위)

2018 305.7(25위)  62.23(92위)

2019 302.5(34위)  65.02(66위)

2020 323.8(1위)    60.24(121위)

------------------------------------------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