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在抗击新冠肺炎疫情的战役中 韩国从未缺席

기사입력 : 2020년03월13일 11:02

최종수정 : 2020년03월13일 11:05

新型冠状病毒(COVID-19,新冠肺炎)肺炎疫情在韩国扩散,累计确诊病例近8000例。但近几天,新增确诊病例明显趋缓,除了与防疫部门对新天地教会信徒核酸检测进入收尾有关,更重要的是离不开政府采取强有力的措施,以及企业和民众的配合。在这没有硝烟的战役中,韩国从未缺席。

▲对重灾区进行"特殊管理"

韩国总统文在寅【图片=纽斯频】

韩国在确诊第31例来自新天地大邱教会的患者后,确诊病例就犹如雨后春笋,全境防疫局面几近失控,大邱市和庆尚北道沦为重灾区。

为尽快控制疫情,总统文在寅上月23日宣布,把新冠肺炎疫情预警上调至最高级别"严重",并强化应对措施。

韩国传染病预警级别分为4个阶段,分别是关注、注意、警惕和严重。这是韩国继2009年甲型H1N1流感后,时隔11年再度发布最高级别传染病预警。

中央政府还将大邱、庆尚北道以及庆山市划为"传染病特别管控区",进一步强化防疫网,阻断疫情在社区扩散。尤其是还将此前防疫部门级别提升至由总理主管的"中央灾难安全对策本部",进一步加大政府层面应对力度,强化中央与地方政府之间的合作。文在寅总统南下大邱了解疫情防控情况;丁世均总理亲自挂帅,在前线指挥。

本月3日,文在寅总统在中央灾难安全对策本部扩大会议兼国务会议上表示,有必加强戒备以处理防疫和经济相关措施。在中央灾难安全对策本部发挥"司令塔"作用的基础上,政府所有部门转换至24小时应急机制,投入到防疫和提振民生经济中。

紧急编制巨额预算抗疫

韩国国会【图片=纽斯频】

为进一步加强韩国防疫措施,提振经济,政府紧急编制了规模达11.7万亿韩元(约合人民币684.3亿元)的追加预算案,该预算案已于5日提交至国会,力争17日在2月国会临时会议上通过。

预算除了用于加强防疫系统,还将投入巨额资金提振受新冠疫情影响的内需经济。其中,预算的8.5万亿韩元用于疫情防控,其余3.2万亿韩元则被用于填补税收缺口。政府还特别向重灾区的大邱和庆尚北道拨款6000亿韩元,借此稳定就业。

这是文在寅政府成立以来第4次编制追加预算,也是7年来韩国政府编制规模最大的一次,超过2015年中东呼吸综合征(MERS)疫情时制定的追加预算规模。

取消集会活动 企业居家办公

光化门广场【图片=纽斯频】

首尔作为韩国的政治、经济和文化中心,光化门广场、首尔广场和清溪川广场每到周末都会举行大型群众集会,各大商圈更是人头攒动、游客交织。

面对严峻的新冠肺炎疫情,首尔市长朴元淳上月21举行紧急记者会,禁止在上述大型广场举行集会。朴元淳市长还呼吁民众参与"暂停两周社交活动"运动。朴市长在记者会上表示,当前是阻断新冠肺炎疫情扩散的关键时期,希望民众减少聚集性活动。

此外,中央灾难安全对策本部第一总括协调观金刚立也在周末到来前的例行记者会上呼吁民众减少聚会,注意个人卫生。

企业也纷纷开启"居家办公模式",与政府一道防控疫情。三星、SK、NAVER、KAKAO Kids等韩国企业以及英特尔、戴尔、微软等外国驻韩公司鼓励员工居家办公或采取部门轮休制度;大韩商工会议所更发起倡议,呼吁会员企业在家办公。

考虑到韩国各地集体感染很大部分发生在教会,佛教、基督教、天主教等宗教团体也先后叫停宗教活动,避免因群聚造成交叉感染、

设"方舱医院"集中收治轻症患者

医护人员运送新冠肺炎患者【图片=纽斯频】

为解决新冠肺炎患者病床紧缺的问题,韩国中央灾难安全对策本部发布了新版治疗管理方案,按照病情轻重对症送往相应医院进行治疗,并开设韩版"方舱医院"——生活治疗中心,集中收治轻症患者。

患者根据病情轻重分为轻症、中症、重症和最重症,对中症以上的患者会被迅速安排到负压病房或是国家定点医疗机构接受治疗,轻症患者则被收治于生活治疗中心。

生活医疗中心由各地方政府各自指定,周边医疗机构提供支援。

截至发稿,韩国共有15处生活治疗中心,收治轻症患者规模将达3300余人。尤其是其他地方政府也正在寻找可收治超过1000名患者的地点,以应对出现大规模感染导致的病床紧缺问题。

此外,由中央灾难安全对策本部牵头,行政安全部、福祉部、国防部、环境部、警察厅、消防厅等部门共同参与的"政府联合支援队"正式启动,支援队将主要负责对患者的病毒检测、移动日程确认、人力物资支援等生活治疗中心所需工作。

备受肯定的病毒检测效率

韩国"免下车"筛查站【图片=纽斯频】

韩国新冠病毒检测效率在多个国家中尤为突出。事实上,韩国新冠肺炎确诊病例连日激增除了与新天地教会发生的集体感染有关,还取决于检测试剂的速度。一般而言,确诊新冠病毒需要12个小时,而韩国使用的检测试剂耗时缩至6小时,更有部分企业更研发出仅1.5小时即可判断是否感染的检测试剂。

韩国中央灾难安全对策本部还在全国推行由地方政府运营的"免下车"筛查站。市民可停留在车内,打开车窗接受体温监测和标本采集。这种筛查站无需搭建帐篷,可节省消毒和通风时间,提高采集标本的效率。

美国前食品药监局(FDA)局长戈特利布(Scott Gottlie)上个月22日发表推文,对韩国强大的检测能力大加赞赏。韩国乔治梅森大学访问研究员安德烈·阿布拉哈米安(音)在接受《时代》杂志采访时也表示,"表面看起来韩国确诊人数大幅增长,但这反映了韩国超强的诊断能力"。

不封城抗疫效果显现

马云公益基金会与阿里巴巴公益基金会捐赠的100万只口罩运抵韩国。【图片=纽斯频】

中国在防控新冠肺炎疫情取得了巨大成效,尤其是在第一时间采取封城措施,为其他国家提供了借鉴样板。但国情不同、体制不同,因此中国封城的办法也并非任何国家能做得到,包括韩国。

我们可以看到,韩国新冠肺炎确诊病例在持续激增后逐步放缓。但这期间,政府未采取任何强制限制人员移动的措施。

中央灾难安全对策本部第一总括协调官金刚立曾表示,诸如封城的强制措施在韩国基本行不通。在防控疫情过程中,民众应积极配合工作。若强制实行该措施,恐会适得其反。

金刚立补充道,在不损害公开透明的社会原则的情况下,政府建立了反应机制,把公众自愿参与病毒检测与先进技术相结合。

事实上,韩国在防控疫情过程中大量借鉴中国经验,同时也根据本国实际情况形成一套属于自己的防疫思路。多家外国媒体也表示,在国情与体制不同的情况下,韩国采取的不封城抗疫给其他国家提供更广的借鉴空间。

写在最后

除上述措施外,还包括政府向民众手机发送警报信息、口罩实名限购、政府与生物制药企业联合研究疫苗等。

"众人划桨开大船",面对突如其来的新冠肺炎疫情,我们应该做的是凝聚智慧、团结一心,与社会各界共同打赢这场疫情阻击战。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고객신뢰위원회 출범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SK텔레콤이 개인정보 유출 사고의 대응책으로 고객신뢰위원회를 구성했다. 고객신뢰위원회는 안완기 전 한국생산성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5인 구성으로 이번 사고로 떨어진 고객 신뢰의 회복을 목표로 한다. SK텔레콤은 18일 데일리 브리핑을 개최하고 고객신뢰위원회 출범을 공식화했다. SKT는 앞선 16일 고객신뢰위원회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진행했다. 위원회 활동은 2년이다. 서울 시내 한 티월드 대리점에서 유심 교체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 김영은 인턴기자] 위원회는 안완기 전 한국생산성본부 회장(현 한국공학대학 석좌교수)이 위원장을 맡고 신종원 전 소비자분쟁조정위원장, 손정혜 법무법인 혜명 변호사,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 김채연 고려대 심리학부 교수(전 고려대 다양성위원회 위원장)도 위원으로 참여한다. 관심이 모아졌던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해서는 위원회에서 직접적으로 논의하지는 않는다. 앞서 SKT는 위원회 출범 전 위약금 면제 여부 등을 포함한 고객신뢰 회복 방안을 위원회를 통해 논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홍승태 SKT 고객가치혁신실장은 "위약금 면제와 관련해 고객의 생각을 정리해 회사에 전달하는 등 고객 시각을 반영하는 역할을 위원회가 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KT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의 청문회에서도 위약금 면제와 관련해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번에 구성된 고객신뢰위원회에서 직접적으로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해 결정하지는 않지만 관련한 고객들의 의견을 회사에 전달한다는 것이다. 이에 위원회에서 고객 입장을 반영한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한 의견을 전달하면 SK텔레콤 이사회에서 이에 대해 추가로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객신뢰위원회는 격주로 회의를 진행하며 각종 조치에 대해 자문할 계획이다. 또한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한 중장기적인 로드맵 마련을 회사에 요구하고 발표할 예정이다. 홍 실장은 "위원회 구성에 대해 상당히 많은 고민을 했고 위원들을 모시는 데 공을 들였다. 그동안 부족했던 부분에 대한 조언을 듣고 향후 계획에 도움을 받기 위해 위원회를 출범했다"며 "1차 회의에서 고객신뢰위원회의 운영 방안, 업무 범위 등에 대해 논의했다. 다음주 진행될 2차 회의에서 다양한 내용이 공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심 카드 물량이 대량 입고되면서 유심 교체에도 속도를 낸다. 이날 0시 기준 누적 유심 교체 고객은 210만명이며 잔여 예약 고객은 669만명이다. 유심 물량의 확보로 전날 유심을 교체한 인원도 17만명으로 지난 13일 10만명 이후 4일만에 다시 10만명을 넘어섰다. 임봉호 MNO 사업부장은 "17일에 유심 물량이 87만5000개가 입고돼 오늘(18일) 30만개가 배부된다"고 전했다. SKT는 이달 말까지 500만개, 내달 추가로 500만개를 확보해 유심 교체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찾아가는 서비스'도 19일부터 시행한다. 19일부터 6월 말까지 T월드 매장 접근성이 떨어지는 전국 도서벽지 100여 개 지역 300여 곳을 방문하기로 했으며 SKT와 멤버사 구성원이 직접 도서 벽지 노령층을 중심으로 유심보호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유심 교체 및 재설정 솔루션도 제공할 예정이다. 류정환 네트워크인프라센터장은 "초기 대응 측면에서 부족한 면이 많았다. 엔지니어로서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며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추가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전했다.  origin@newspim.com 2025-05-18 11:45
사진
尹 4차 공판...박희영 첫 정식재판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이번 주 법원에서는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석열 전 대통령의 4차 공판이 열린다. 이태원 참사 부실대응 혐의로 기소된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과 박희영 용산구청장에 대한 항소심 정식 재판도 시작한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오는 19일 오전 10시 15분 내란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 전 대통령의 4차 공판기일을 연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2일 3차 공판 때와 마찬가지로 서울법원종합청사 서관 지상출입구를 통해 걸어서 출입할 예정이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3차 공판 당시 처음으로 지상으로 출입했으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사과할 생각이 있느냐'는 등의 취재진 질문에 일절 답하지 않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오는 19일 오전 10시 15분 내란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 전 대통령의 4차 공판기일을 연다. 사진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3차 공판을 마치고 나오는 모습. [사진=뉴스핌 DB] 지난 1~3차 공판에서는 윤 전 대통령 측에 불리한 증언들이 이어졌다. 검찰 측 증인인 조성현 국군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과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제1특전대대장은 12·3 비상계엄 당일 "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오상배 전 수방사령관 부관은 '피고인(윤 전 대통령)과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의 세 번째 통화 내용이 무엇이었나'라는 검찰 질문에 "'아직도 (본회의장에) 못 들어갔느냐'고 피고인이 말했고 '본회의장 앞까지 갔는데 사람이 너무 많아서 문으로 접근할 수 없다'고 이 전 사령관이 말하자, 피고인이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고 말씀한 걸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이날 4차 공판에서는 검찰 측 증인인 박정환 육군 특수전사령부 참모장에 대한 증인신문이 진행되며, 윤 전 대통령의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에 대한 심리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법원은 지난 16일 내란 사건 전담 재판장인 지귀연 부장판사의 술접대 의혹과 관련해 "윤리감사관실에서 국회 자료, 언론 보도 등을 토대로 가능한 방법을 모두 검토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며 "향후 구체적인 비위사실이 확인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4일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지 부장판사가 1인당 100만∼2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나오는 '룸살롱'에서 여러 차례 술을 마셨고 단 한 번도 그 판사가 돈을 낸 적이 없다는 구체적인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 1심서 이임재 금고 3년...박희영은 무죄 서울고법 형사13부(재판장 백강진)는 오는 19일 오후 2시 업무상과실치사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임재 전 서장, 송병주 전 용산서 112상황실장, 박모 전 용산서 112상황팀장 등의 항소심 첫 공판기일을 진행한다. 사진은 이 전 서장이 지난해 9월 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열린 1심 선고공판에서 금고 3년형을 선고받고 나서는 모습. [사진=뉴스핌 DB] 서울고법 형사13부(재판장 백강진)는 같은 날 오후 2시 업무상과실치사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 전 서장, 송병주 전 용산서 112상황실장, 박모 전 용산서 112상황팀장 등의 항소심 첫 공판기일을 진행한다. 이들은 지난 3월 열린 공판준비기일에서 모두 혐의를 부인했다. 이 전 서장 측 변호인은 "피고인에게 과연 개별적 형사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이 전 서장은 2022년 10월 핼러윈 축제 기간 경력을 투입해야 한다는 안전 대책 보고에도 사전 조치를 하지 않고, 이태원 참사 당일 현장에 늦게 도착하는 등 지휘를 소홀히 한 혐의를 받는다. 1심은 지난해 9월 이 전 서장에게 유죄를 인정해 금고 3년을, 송 전 상황실장에게는 금고 2년, 박 전 상황팀장에게는 금고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각각 선고했다. 같은 법원 형사9-1부(재판장 최보원)는 오는 20일 오후 4시 업무상과실치사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박 구청장 등에 대한 항소심 첫 공판기일을 연다. 박 구청장 등 용산구청 관계자는 지역 내 재난 책임자이며 참사 당일 몰린 대규모 인파로 사고를 예측할 수 있었지만, 안전관리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재난 안전상황실을 제대로 운영하지 않은 혐의를 받는다. 1심은 지난해 박 구청장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으며 박 구청장과 함께 재판에 넘겨진 용산구청 관계자 3명도 모두 무죄를 선고받았다. 이에 검찰은 즉각 항소했다. 1심 재판부는 "당시 안전법령엔 다중군집으로 인한 압사 사고가 재난 유형으로 분리돼 있지 않았고 행정안전부와 서울시 2022년 수립 지침에도 그런 내용이 없었다"며 "재난안전법령에 주최자 없는 행사에 대해선 별도 안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무 규정이 없어 업무상 과실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무죄 이유를 설명했다. hong90@newspim.com 2025-05-18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