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글로벌경제

속보

더보기

삼성 떠난 中후이저우 지역경제 붕괴...줄줄이 폐업·구조조정

기사입력 : 2019년12월11일 17:20

최종수정 : 2019년12월11일 21:35

[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삼성전자가 중국 광둥(廣東)성 후이저우(惠州) 스마트폰 공장을 철수한 후 인근 상권이 붕괴하고 공급업체들은 생산량을 급격히 줄이는 등 지역경제가 붕괴 위기에 놓였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10월 삼성전자가 중국 내 마지막 스마트폰 생산 시설이었던 후이저우 공장 가동을 멈춘 후 인근 소매 점포의 60%가 폐업했다. 앞으로 상권이 되살아날 가능성이 낮아 폐업하는 점포는 계속 속출할 전망이다.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김학선 기자 yooksa@

식당, 슈퍼마켓, 약국, 편의점, 인터넷 카페, 호텔 등 삼성 공장 직원들의 수요에 기댔던 지역 상점들은 망연자실한 모습이다.

후이저우의 한 식당 주인은 "삼성 공장이 문을 닫기 전 한달 매출이 6만~7만위안(약 1019만~1188만원)에 달했는데 지금은 하루에 몇 백 위안 밖에 벌지 못한다"고 말했다.

중국 제조업 노동 환경 감시기관 대표인 류카이밍은 "삼성의 후이저우 공장은 지난 20년 간 광둥성 공급망 전체의 생태계를 만들었다"며 "삼성 철수로 광둥성에서 100개 이상의 공장이 문을 닫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광둥선 둥관(東莞) 소재의 한 자동화 업체는 최대 고객인 삼성의 주문이 끊겨 대규모 적자에 몰리자 임원들에게는 3개월 강제 휴가를 명령하고 생산 근로자들의 근무 시간을 일주일에 1~2일로 단축했다.

이 업체의 한 직원은 "회사가 공식 감원을 단행하기보다는 생계가 어려울 정도로 급여를 줄여 직원들이 스스로 그만두기를 유도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업체는 삼성의 주문이 한창 밀려오던 몇 년 전만 해도 직원이 1만 명을 넘었으나 지금은 3000명 가량으로 줄었다.

인근 부동산 시장도 타격을 입었다. 한 부동산 중개업자는 "이 지역에 6~7층짜리 주거용 건물이 100채 가량 있고 대부분 삼성 직원들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공장 폐쇄 후 가격이 폭락했지만 아무도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1992년 8월 한중 국교 수립 4일 전에 후이저우 휴대전화 공장 가동을 시작했으며, 2007년부터 이 공장에서 스마트폰을 생산해 왔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가 세계 1위를 기록했던 2011년 삼성전자는 후이저우와 톈진 공장에서 각각 7014만대와 5564만대의 휴대폰을 생산해 수출했다.

2017년에는 후이저우 삼성 공장에서 6257만대의 휴대폰이 생산됐다. 이는 후이저우의 총 수출입 규모의 약 31%에 달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중국 시장 실적 부진과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내 생산시설을 베트남과 인도 등으로 옮겨왔다. 그리고 지난해 12월 톈진에서 철수한 데 이어 지난 10월 근 30년 간 지역경제의 생명줄 역할을 해온 후이저우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후이저우 세관 데이터에 따르면, 삼성이 후이저우 공장 문을 닫은 첫 달인 10월 후이저우 수출 규모는 140억위안(약 2조3760억원)으로 전년비 27% 감소했다.

지역 주민들은 '지역 경제가 죽어가고 있으므로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며 광둥성 정부가 삼성을 대체할 다른 공장을 들여오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gon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