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湖南文旅】2019湖南国际文化旅游节在郴州莽山开幕

기사입력 : 2019년09월22일 21:41

최종수정 : 2019년10월11일 16:35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韩国纽斯频(NEWSPIM)通讯社报道,锦绣潇湘·别样郴州·湘粤莽山”——2019湖南国际文化旅游节22日在郴州宜章县莽山景区拉开帷幕。

湖南省委副书记乌兰宣布正式开幕。【图片=记者 周钰涵】

湖南省委副书记乌兰,老挝新闻文化和旅游部副部长长沙万空·拉沙蒙迪,湖南省政协副主席、郴州市委书记、市人大常委会主任易鹏飞,原国家旅游局副局长杜一力,原国家旅游局政策法规司、规划发展与财务司司长魏小安,湖南省委副秘书长秦国文,省人大教科文委员会分党组书记、副主任委员肖国安,省委宣传部副部长、省文化和旅游厅党组书记禹新荣,省文化和旅游厅厅长陈献春,省市场监管局局长向曙光,郴州市委副书记、市长刘志仁等出席。

此外,文化旅游节邀请来自美国、英国、日本、韩国、泰国、尼泊尔、老挝、印尼、越南、马来西亚、新加坡、挪威、波兰、克罗地亚等国家和港澳台地区的211位嘉宾,及广东省、广西壮族自治区、河北省、湖北省等省内外嘉宾共600余人参会。郴州市委副书记、市长刘志仁主持开幕仪式。

中共郴州市委书记、市人大常委会主任易鹏飞致辞。【图片=记者 周钰涵】

中共郴州市委书记、市人大常委会主任易鹏飞致辞 :锦绣潇湘,别样郴州。郴州古称林邑之城字独属郴州。这里集福地宝地绿地于一体,既是钟灵毓秀、文化厚重的天下第十八福地,又是遍布红色事迹的湘南起义策源地、第一军规颁布地、半床棉被故事发生地。

易鹏飞表示,今后,郴州将以荣获2019全球绿色低碳领域先锋城市蓝天奖和建设国家可持续发展议程创新示范区为契机,抢抓对接粤港澳大湾区等重大历史机遇,紧扣高质量发展要求,加快推进系列文化旅游产业项目建设,致力在更高层次上把郴州打造成为国际知名的休闲度假旅游目的地、国家级全域旅游示范区、湖南省全域旅游基地建设新样板。

湖南省文旅厅党组书记禹新荣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湖南省文化和旅游厅党组书记禹新荣致辞,他说:湖南是一个文化旅游资源大省,拥有壮美奇绝的自然景观、源远流长的历史文化、世人景仰的革命圣地、多姿多彩的民族风情。今年1-7月全省接待国内外游客4.6亿人次,同比增长12.0;实现旅游总收入5169.04亿元,同比增长16.67%。

禹新荣强调,郴州是湖南的南大门,对接粤港澳的桥头堡。本届文化旅游节开幕式在独具魅力的郴州宜章莽山举办,以锦绣潇湘别样郴州湘粤莽山为主题,内容丰富,精彩纷呈,对于进一步打造郴州国际休闲文化旅游品牌,扩大我省秀美奇特的山水文化旅游产品的知名度和美誉度,提升全省旅游产业发展的国际化水平,具有十分重要的意义。

湖南省文化和旅游厅党组成员、副厅长高扬先致辞。【图片=记者 周钰涵】

随后,湖南省文化和旅游厅党组成员、副厅长高扬先发布湖南省首批十大特色小镇名单,即浏阳市文家市镇、永顺县芙蓉镇、洪江区古商城小镇、望城区铜官小镇、通道县坪坦乡、岳阳县张谷英镇、龙山县里耶镇、桃花源旅游管理区桃花源镇、长沙县果园镇和新化县水车镇;还发布爱上湖南文化旅游精品线路之伟人故里精品路线,主要包括湘潭韶山、湘乡、湘潭、长沙宁乡等区域,是伟人毛泽东的故居所在地。线路上主要景点景区有毛泽东同志故居及纪念馆、刘少奇同志故居及纪念馆、彭德怀纪念馆、陈赓故居、东山学校、灰汤温泉、岳麓山-橘子洲等。

中共湖南省委副书记乌兰宣布锦绣潇湘·别样郴州·湘粤莽山”2019年湖南国际文化旅游节正式开幕。

歌舞《瑶家迎客来》【图片=记者周钰涵】

现场通过序曲《天地传奇、莽山之恋》正式掀开本届活动的大幕;舞蹈《云舞》拉开了文艺演出的帷幕;《两两相望》歌声,述说着莽山将军石的家国爱情传说故事;莽山旅游主题歌《我想攀上一座高山》极具地方特色,展现了壮美莽山、达观天下的湖湘人的胸怀豪情,彰显了湖湘文化敢为人先的精神风貌。

歌舞《美在水月间》【图片=记者 周钰涵】

一名在当地经营民宿的老板李某接受韩国纽斯频采访,他表示:许多韩国游客都把张家界视为湖南旅游首选目的地。近两年,随着两国关系持续回暖,韩国游客规模逐步上升,希望通过在莽山举行湖南国际文化旅游节和媒体力量,将郴州和莽山推广至全国,甚至是海外。

瑶族女孩光彩夺目【图片=记者 周钰涵】

另外,湖南国际旅游节已成功举办了十六届,本届文化旅游节将持续至28日。

开幕式现场【图片=记者 周钰涵】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李정부, 123개 국정과제 공식 확정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정부가 향후 5년간 국정 운영의 핵심 로드맵이 될 123대 국정과제를 본격 추진한다. 정부는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국정과제를 포함한 국정과제 관리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123대 국정과제는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제안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정부 차원의 검토 및 조정·보완을 거쳐 확정한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KTV] 최종 확정된 국정과제 체계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비전 아래 5대 국정목표, 23대 추진전략, 123대 과제로 구성됐다. 5대 국정목표는 ▲국민이 하나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다. 우선 정부는 국민주권 실현 및 대통령 책임 강화를 위한 개헌을 추진한다. 4년 연임제 및 결선투표제 도입, 감사원 국회 소속 이관, 대통령 거부권 제한, 국무총리 국회추천제 도입 등이 개헌안에 담길 전망이다. 권력기관 개혁을 통한 민주주의 확립, 독자 인공지능(AI) 생태계 및 AI고속도로 구축, 5극3특 중심 혁신·일자리 거점 조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 산재 감축 등의 내용도 국정과제에 담겼다. 또 이재명 정부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완료하는 강군 육성 방안도 포함됐다. 행정수도 세종 완성과 2차 공공기관 이전도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균형발전 관련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있다. [사진=KTV]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범정부 추진체계도 구축한다. 온라인 국정관리시스템과 오프라인 범부처 협의체를 운영, 국정과제 추진상황을 지속 관리한다. 입법성과 조기 창출을 위해 법제처에 국정입법상황실을 두고, 국정과제 입법 전주기를 밀착 관리한다. 국정과제 중 입법조치가 필요한 사항은 법률 751건, 하위법령 215건 등 총 966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법률안 110건은 연내 국회 제출하고, 하위법령 66건 올해 제·개정한다는 계획이다.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성과를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온라인 소통창구인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마련, 국민이 제기한 의견을 정부가 신속히 답하는 쌍방향 소통채널을 만든다. 국민만족도 조사는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민생 관련 중요 국정과제는 민관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한다. 국정과제 추진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정부업무평가 기본계획('25~'27)' 및 '2025년도 정부업무평가 시행계획 수정안'도 이날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 올해는 미래 전략산업 육성 등 각 부처가 역점 추진하는 정책과제, 신산업 등 규제 합리화, AI 활용 일하는 방식 혁신, 디지털 소통·홍보 노력 강화 등을 중점 평가할 예정이다. 국민주권정부에 걸맞게 평가 과정에 국민 참여를 확대하고, 국민 만족도 조사 결과도 비중 있게 반영한다. 국무조정실은 "향후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의견을 수시로 청취하고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국민요구와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해 이행계획도 지속 보완하며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9-16 14:04
사진
코어위브, 엔비디아와 8조원대 계약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데이터센터 운영업체인 코어위브(종목코드: CRWV)는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와 63억 달러(8조7160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 주문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번 계약을 통해 2032년 4월 13일 까지 코어위브가 고객에게 판매하지 않은 모든 클라우드 용량을 구매하기로 했다. 엔비디아와 수주 계약 체결 소식이 전해진 후 코어위브 주가는 뉴욕 정규장 거래에서 8% 상승했다. 지난 3월 상장 이후 이 회사 주가는 3배 뛰었다. 코어위브는 미국과 유럽에서 엔비디아의 GPU 칩을 탑재한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이를 임대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판매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핵심 클라우드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AI 컴퓨팅 용량 수요 감소 가능성에 대한 완충장치를 마련하게 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평가했다. 코어위브는 일찌감치 엔비디아의 눈도장을 받아 2023년 투자를 받았다. 엔비디아는 코어위브 지분을 6% 넘게 보유하고 있다. 코어위브는 지난 3월 공모가 40달러에 뉴욕 증시에 상장한 후 AI 열풍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급증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했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즈는 "이번 계약은 최종 고객과 상관없이 용량이 활용될 것을 보장함으로써 코어위브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며 "투자자들은 코어위브가 최대 고객사 2곳(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 외에 데이터센터 용량을 채울 수 있을지 우려해왔는데, 이번 계약으로 이런 우려가 사라졌다"고 분석했다.  코어위브 로고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9.16 kongsikpark@newspim.com 코어위브는 지난 3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119억 달러 규모의 5년 계약에 합의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기로 한 바 있다. 오픈AI는 2029년 4월까지 40억 달러까지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추가 협정을 맺었다. kongsikpark@newspim.com 2025-09-16 13:03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