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섬유제품 소비자 분쟁, 절반 이상이 사업자 책임"

기사입력 : 2019년06월28일 08:37

최종수정 : 2019년06월28일 08:37

[서울=뉴스핌] 최주은 기자 = # A씨(남·30대)는 지난해 백화점에서 롱패딩 점퍼를 구입했다. 하지만 주머니 부분 등이 서서히 찢어지더니 심하게 터져버렸다. 판매업자는 착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현상이라며 보상을 거절했다. 반면 한국소비자원 섬유제품심의위원회는 롱패딩이 봉제 시 바늘에 의해 손상돼 찢어진 것으로 '품질하자'로 판단했다.

# B씨(여·40대)는 지난해 5월 세탁업자에게 점퍼 세탁을 맡겼는데 세탁 후 점퍼가 수축되고 광택이 사라졌다. 세탁업자는 세탁 과실을 인정하지 않고 보상을 거절했다. 하지만 B씨가 맡긴 옷은 건식세탁 방법인 드라이클리닝을 해야 했지만 세탁업자가 물세탁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원 섬유제품심의위원회는 이 때문에 수축 및 보풀이 발생하고 광택이 사라진 것으로 세탁업자의 '세탁 과실'로 판단했다.

섬유제품과 관련한 소비자 분쟁의 절반 이상이 제조·판매업자나 세탁업자의 과실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잘못은 10건 중 2건꼴에도 미치지 못했다.

28일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섬유제품심의위원회에 접수한 6257건의 신고 및 조사 내용을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자료=한국소비자원]

제조·판매업자의 책임 44.9%, 세탁업자 책임 9.7%, 소비자 책임은 17.7%로 집계됐다. 제조·판매업자의 제조 불량 및 품질 하자가 발생한 원인으로는 '제조 불량'이 1020건(3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Δ내구성 불량 919건(32.6%) Δ염색성 불량 687건(24.5%) Δ내세탁성(세탁에 견디는 성질) 불량 183건(6.5%) 순이었다.

세탁업자의 과실(610건)은 세탁방법 부적합이 316건(51.8%) 대부분이었다. 다음으로는 Δ용제·세제 사용미숙 78건(12.8%) Δ오점제거 미흡 70건(11.5%) Δ후 손질 미흡 53건(8.7%)이었다.

소비자 책임은 '취급부주의'(859건, 77.7%)로 인한 경우가 압도적이었다. 소비자들이 세탁 시 제품에 표기된 세탁 방법 등 표시사항을 준수하지 않았거나 착용 중 찢김·터짐 등이 많았다.

품목별로는 점퍼·재킷류가 24.2%로 가장 많았고, 셔츠 9.4%, 코트 8.6%, 캐주얼바지 8.5% 순이었다.

소비자원은 소비자들에게 분쟁을 줄이고 막기 위해 제품에 표시된 취급 주의사항을 유의하고, 세탁을 맡길 때 제품의 상태를 확인하며 가능한 한 빨리 회수해 하자가 생겼는지를 즉각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소비자원은 섬유제품 관련 분쟁을 줄이기 위해 이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의류 제조·판매업자 및 세탁업자와 간담회를 개최해 품질 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다.

 

jun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여론조사] 국힘 차기 당권주자는…한동훈 28.4%·유승민 25.9% [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보수 진영의 가장 유력한 차기 당권 주자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30일 발표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지난 27~28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에게 물은 차기 국민의힘 당대표 조사 결과 한 전 위원장은 28.4%로 1위를 차지했다. 유승민 전 의원이 25.9%로 2위에 올랐으며 뒤이어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6.4%), 원희룡 전 장관(5.5%), 나경원 국민의힘 당선인(5.4%),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3.1%), 김태호 국민의힘 당선인(1.1%) 순으로 집계됐다. 기타는 5.8%, 없음 14.1%다. 한 전 위원장은 국민의힘 지지자들 사이에서 압도적이었다. 정당별로 살펴본 결과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한 위원장의 지지도는 55.9%를 기록했다. 반면 유 전 의원은 더불어민주당(40.5%), 조국혁신당(44.9%), 개혁신당(31.7%), 새로운미래(40.1%) 등 야권 지지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한 전 위원장 지지율은 70대 이상(27.3%), 60대(36.3%), 30대(32.8%)에서 높았으며 유 전 의원은 40대(32.1%), 50대(30.8%)에서 높았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지지층에서 유승민 전 의원에 대한 지지세가 강한 것은 국민의힘의 대표적인 비윤(비윤석열)계로 분류되는 유 전 의원의 윤석열 대통령 비판 목소리와 무관치 않다"고 분석했다. 이어 "야권 지지층에서의 역선택이 반영된 것"이라며 "특히 유 전 의원이 국민의힘 당대표가 되는 것이 야권층에 더 유리하다고 봤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과반수가 한 전 위원장을 지지한 것은 이번 22대 총선 참패의 주범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심은 여전히 한 전 비대위원장임을 보여준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3.3%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oneway@newspim.com 2024-05-30 06:00
사진
합참 "대북 확성기 방송 실시…추가 방송은 전적으로 북한 행동에 달려"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우리 군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9일 국방부 출입기자단 문자 공지를 통해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에 대하여 경고한 바와 같이 오늘 오후 확성기 방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우리 군의 대북확성기 방송 추가 실시 여부는 전적으로 북한의 행동에 달려있다"고 경고했다. 합참은 "이런 사태의 모든 책임은 북한에 있다"며 "오물풍선 살포 등 비열한 방식의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사진공동취재단] 지난 2018년 5월 1일 오후 경기도 파주 육군 9사단 교하소초에서 병사들이 임진강변에 설치된 대북 심리전 확성기 방송시설을 철거하고 있다. 2018.05.01 앞서 대통령실은 오전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어 대북 확성기를 설치·방송하기로 결정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대남 오물풍선을 살포한 것에 대해 "북한의 오물 풍선에 담긴 내용물이 국민들에게 미치는 심리적인 타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강력한 대응을 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명백하게 대한민국 사회를 혼란시키고 국민의 불안을 가중시키는 행위를 하는 이상 정부로서도 가만히 있을 수는 없다"고 했다. 이후 신원식 국방부 장관도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를 주관하며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에 만전을 기하라고 당부했다. 합참은 이보다 앞선 오전 10시30분쯤 출입기자단 공지를 통해 "이날 오전 10시까지 북한 측은 330여 개의 오물풍선을 띄운 것으로 식별됐다"며 "우리 지역에 낙하된 오물풍선은 80여 개"라고 밝혔다. 현재 공중에 떠 있는 풍선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28일과 지난 1일 두 차례에 걸쳐 오물풍선 1000여 개를 남쪽으로 날려보냈다. 북한의 오물풍선 부양은 올 들어 세 번째로, 마지막 부양이 확인된 지난 2일 오전 10시 이후 6일 만에 재개했다.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잠실대교 인근서 발견된 대남 오물풍선. [사진=합동참모본부] 2024.06.09 parksj@newspim.com parksj@newspim.com 2024-06-09 19:2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