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2018韩国乐坛总结】有喜有忧五味杂陈

기사입력 : 2018년12월19일 10:48

최종수정 : 2018년12월21일 11:05

2018年即将过去,回顾这一年的韩国乐坛,有防弹少年团(BTS)屹立于全球K-POP之巅,有TWICE、Blackpink等实力女团当道,也有围绕在部分歌手身边的争议以及遗憾。用“有喜有忧,五味杂陈”形容并不为过,下面就让我们共同回顾今年韩国乐坛的重大事件吧。

▲“K-POP关键词”防弹少年团

【图片=网络】

2018年对防弹少年团(BTS)而言可谓硕果累累。在“2018公告牌(Billboard)音乐大奖”中,连续第二年获得“Top Social Artist”奖,成员们更代表亚洲歌手在舞台演唱第3张正规专辑《LOVE YOURSELF 转 Tear》主打曲《FAKE LOVE》。

同时,专辑还位居公告牌两百强专辑榜 (Billboard Top 200)榜首,开韩国歌手先河的同时,也是2006年以后首次夺得冠军的非英语专辑。

9月,防弹少年团发布再版专辑《LOVE YOURSELF 结 ANSWER》,再居公告牌两百强专辑榜首,一年两度夺得该榜冠军,验证团体高人气。防弹少年团巡演座无虚席,今年8月在首尔举行的演唱会吸引9万粉丝观看,美洲巡演云集22万人次粉丝,随后进行的欧洲巡演及日本演唱会,粉丝规模更近50万。

他们还首次以韩国歌手身份在联合国大会演讲。在10月和11月举行的“2018全美音乐奖”和“2018 MTV EMA”中也获得多个奖项。韩国政府为表彰防弹少年团推广宣传韩流和韩字所做的贡献,特别颁发文化勋章,他们成为最年轻的获奖者。

在公告牌评选的“2018 TOP Artist”中,他们连续第二年进入前十,这是韩国歌手创造的最佳纪录。在彭博社评选的“The Bloomberg 50”中,防弹少年团作为首个韩国歌手出现在榜单,歌曲《FAKE LOVE》和《Singularity》也入选《纽约时报》评选的“2018 Best Song”。

▲实力女团闪耀2018

【图片=NEWSPIM】

TWICE今年共发布4张专辑。4月,成员们凭借迷你5辑《What is Love?》正式开启活动。她们7月发布特别2辑《Summer Nights》、11月发布迷你6辑《YES or YES》,12月发布特别3辑《The year of “YES”》,每张专辑都深受粉丝们的喜爱,专辑销量超100万张。成员们更进军日本市场,9月发布首张正规专辑《BDZ》,位居日本公信榜专辑、周榜和月专辑榜榜首。

【图片=网络】

YG娱乐旗下女团Blackpink也度过了充实的2018年。今年6月,成员们发布首张迷你专辑《SQUARE UP》,主打歌曲《DDU-DU DDU-DU》不仅在韩国引发强烈反响,更在美国公告牌赢得一席之地。

该专辑在公告牌两百强专辑榜中位居第40位,主打曲《DDU-DU DDU-DU》也在“Hot 100”中排名第55位。不仅如此,成员们SOLO出道也备受关注。YG娱乐计划让成员依次出道,成员JENNIE于11月发布单曲《SOLO》,在各大音源网站位居前列。

此外,Blackpink12月5日在日本发布首张正规专辑《BLACKPINK IN YOUR AREA》,正式进军海外市场。 

▲五味杂陈的一年

今年韩国乐坛也是五味杂陈的一年。

徐旻佑(左)和金东润【图片=网络】

3月25日,男团100%成员徐旻佑在家中离世。据公司透露,徐旻佑被人发现时已处于心跳停止状态,经急救队确认徐旻佑不幸去世。官方消息公开,震惊韩国娱乐圈。7月27日,男团SPECTRUM成员金东润突然离世,家属和团体成员陷入无比悲痛之中。金东润所属团体于今年5月携首张专辑出道,仅仅在娱乐圈活动2个月便传出噩耗,令圈内惋惜。

【图片=网络】

在《Produce 101》的成功带动下,韩国各大电视台都纷纷推出了自己的选秀节目。《MIXNINE》就是其中之一,由JTBC和YG共同推出,最终将选拔9人组团出道。

最初出道组合约期为“4个月+@”,但YG认为四个月短期的限定组合对于组合的成败,盈利以及YG形象等没有意义,提出签订3年合约,3年内发表专辑,一年中6个月用于组合在韩国国内及海外发展,其余6个月回归各个所属社活动。但是这一提案由于部分所属社无法赞同而告吹,9人组出道遥遥无期。目前,禹真荣所属公司将YG告上法庭,目前正在进行一审。

记者 주옥함(wodemay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돌연 취소된 '2+2 통상협상' 왜?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5일(현지 시각) 미국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미 2+2 재무·통상 협의'가 돌연 취소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 측이 한국 대표단에 '양해'의 뜻을 여러 차례 표명했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설명이지만, 외교상 결례에도 불구하고 협의를 미뤄야 했던 배경에는 한국 협상단을 길들이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오전 9시경 이메일로 미국 측으로부터 협의 취소를 통보 받았다. 이날 오전 구 부총리는 협의를 위해 미국으로 출발할 예정이었다. 당시 인천공항 대기실에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기재부는 이 같은 사실을 오전 9시 30분께 언론에 공개했고, 구 부총리는 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오전 9시 50분께 공항을 빠져나갔다. 이날 회의가 취소가 된 배경에 대해 기재부 측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긴급한 일정'에 대한 설명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측이 이메일을 통해 여러 차례에 걸쳐 사과 의사를 밝혔지만, 협상 관련 구체적 일정은 확정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미국과의 협상은 예정대로 진행된다. 김 장관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 등을, 여 본부장은 제이미스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각각 만난다. 하지만 양국 경제·통상 수장이 구체적 이유 없이 협의를 돌연 취소한 배경으로 한미간 협상이 난항을 겪은 것 아니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 20일 미국으로 출국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귀국할 예정이지만, 고위급 협상에 진전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 정부는 1000억달러(약137조원) 규모의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을 미국 정부에 제안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보다 먼저 관세협상을 타결한 일본 사례를 참고해 짠 전략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5500억달러(약 757조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약속하고 미국과의 상호관세 15%부과에 합의했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다만 한국 정부가 제시할 투자 규모에 미국 정부가 만족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댄 스커비노 백악관 부비서실장이 최근 소셜미디어(SNS) 엑스(옛 트위터)에 공개한 일본 대표단과의 협상 사진을 살펴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대미 투자액을 상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투자액이 나온다. 애초 일본이 제시한 투자액 4000억달러는 펜으로 그어져 있고, 그 위에 5000억달러라는 숫자가 써 있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일본의 대미국 투자액은 5500억달러라고 공개했다. 협상액보다 500억 달러가 높아진 셈이다. 촉박한 협상 일정을 무기 삼아 미국이 비관세 영역도 손보려는 의도가 아니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2025년 미국 무역대표부의 비관세 장벽 보고서(NTE)에서도 한국의 방산·통신·원전 분야를 지적했다. 박기훈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방산과 통신은 미국 기업의 진입 장벽이라는 측면에서 구조 개선에 대한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07-24 18:42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