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초원의 빛, 윌리엄 워즈워드

기사입력 : 2017년08월16일 11:01

최종수정 : 2017년08월16일 11:01

예술보다 사랑, 사랑보다 예술(3)

워즈워드가 살던 레이크 디스트릭트(Lake District) 지역 '그래스미어' 마을 전경 <사진=이철환>

한때는 그리도 찬란한 빛이었건만
이제는 속절없이 사라진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초원의 빛이여, 꽃의 영광이여

우리는 슬퍼하지 않으리
오히려 강한 힘으로 살아남으리
존재의 영원함을
티 없는 가슴으로 믿으리

삶의 고통을 사색으로 어루만지고
죽음마저 꿰뚫는
명철한 믿음이라는 세월의 선물로

What though the radiance which was once so bright      
Be now for ever taken from my sight                             
Though nothing can bring back the hour                        
Of splendor in the grass                                              
Of glory in the flower                          

We will grieve not rather find                                        
Strength in what remains behind
In the primal sympathy 
Which having been must ever be                                  
In the soothing thoughts that spring                               
Out of human suffering                                              
In the faith that looks through death                                
In years that bring the philosophic mind.

1961년 엘리아 카잔 감독의 영화 '초원의 빛'은 젊은 청춘남녀의 애절한 사랑을 매우 아름다운 영상으로 옮긴 명화로 많은 이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1920년대 미국 캔자스 주의 작은 마을과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잘생긴 부잣집 소년 '버드(웨렌 비티 분)'와 청순한 소녀 '디니(나탈리 우드 분)'가 만들어내는 풋풋한 사랑 이야기이다. 버드는 여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지만 그가 진심으로 좋아하는 소녀는 디니이다. 디니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아름답고 모범적인 학생이었다. 혈기 왕성한 버드는 디니와 육체적인 관계를 갖고 싶어 한다. 그러나 독실한 기독교신자이자 엄격한 가정교육을 받은 디니는 이를 거절한다.

자존심을 상한 버드는 보란 듯이 다른 여학생들과 어울리고, 마음을 다친 디니는 신경쇠약 증세를 보이며 자살을 시도한다. 디니의 부모는 딸의 상처를 감싸려고 그들의 교제를 금지하자, 디니의 증상이 더욱 악화되어 결국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된다. 게다가 버드의 집도 파산하게 되어 버드는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간다.

세월이 흘러 각자의 삶을 살고 있는 두 사람. 버드는 식당 집 딸 안젤리나와 결혼하여 평범한 농부가 되어 있다. 평범한 숙녀가 된 디니도 자신이 입원해 있던 병원에서 만난 사람의 청혼을 받아들인 상태이다. 우연히 재회한 두 사람은 여전히 서로 사랑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러나 그들은 이제 친구로서 각자의 길을 가기로 한다. 버드는 헤어질 때 “사람일은 알 수가 없어!”라는 말을 남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사랑은 젊은 날 우리를 휘몰아치고 간 소나기인 걸...”이란 디니의 독백과 함께 화면에는 워즈워드의 시 '초원 빛(Splendor in the grass)'이 자막으로 뜬다.

윌리엄 워즈워드는 자연을 노래한 시인으로, 낭만주의 운동을 일으킨 대표적인 시인으로 손꼽힌다. 그는 새로운 안목으로 자연과 인간을 보았으며, 그의 모든 노력은 새로운 환상을 전달하려는 시도였다.

그는 주로 소박한 전원생활을 시의 체험영역으로 다루었다. 그 이유는 바로 전원생활이 인간의 감정을 성숙시키고 아름답게 만드는 토양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자연의 영향력을 강하게 받았다. 자연은 말하자면 그에게 수호신 같은 존재였다. 그는 자연에 대해서 종교적인 경외감마저 느끼고 있었다. 그래서 그를 흔히 낭만시인, 호반시인, 자연시인이라고 부른다.

워즈워드는 또 전원생활 속에 깃든 인간의 근원적 법칙을 소박하고 꾸밈없는 언어로 노래하였다. 그는 순수한 시란 가장 단순한 말로 씌어져야 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려고 하였다. 시의 가장 중요한 주제는 ‘인간과 자연’이었고, 인간에게 미치는 자연의 영향을 자기 자신의 체험을 통해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는 특히 짧은 시를 짓는 데 뛰어난 재주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주로 수선화, 들국화, 뻐꾹새, 종달새 등 자연에서 접할 수 있는 대상들과 시골의 소박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시로 읊었다. 이런 시들은 대부분 짧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누구나 즐겁게 읽을 수 있고 감동을 받을 수가 있다.

그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 '무지개(Rainbow)'에서도 이러한 시인의 특성이 잘 나타나고 있다.

My heart leaps up when I behold
A rainbow in the sky
So was it when my life began,
So is it now I am a man,
So be it when I shall grow old,
Or let me die!

The child is father of the man
And I could wish my days to be
Bound each to each by notural piety.

하늘의 무지개를 바라보면
내 가슴은 뛰누나
나 어렸을 때도 그랬고
어른이 된 지금에도 그렇고
늙어서도 그러기를 바라노니
그렇지 않다면 죽음이나 다름없으리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
바라노니, 내 생애의 하루하루가
경건한 마음으로 이어지기를…

윌리엄 워즈워드(William Wordsworth, 1770~1850)는 1770년 영국 북부지방의 호수 지역 코커머스(Cockermouth)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을 고향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면서 꿈을 키워 나갔다. 이후 캠브리지 대학을 졸업하고서는 프랑스로 건너갔다. 프랑스에 체류하면서 청년 워즈워드는 프랑스 혁명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어 그 운동에 깊숙이 가담하였다. 그리고 이즈음에 프랑스 여인 발롱을 만나 그녀와의 사이에서 딸까지 낳는다. 그러나 영국으로 귀국하게 되면서 그녀와는 헤어지게 된다.

이후 프랑스혁명이 점차 과격화되고, 영국과 프랑스 간의 전쟁까지 겹치게 되자 워즈워드는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자기가 믿고 있던 정치철학이 너무나 비현실적이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정신적 위기와 절망 상태에 빠지게 된다. 여기에 발롱과의 이별도 그를 힘들게 했다. 이 같은 정신적 위기로부터 그를 구출해 낸 것은 바로 자연이었다. 그리고 자연을 새롭게 인식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 사람은 그의 누이동생 도로시(Dorothy Wordsworth)였다.

1799년 워즈워드는 산문작가이자 시인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던 누이동생 도로시와 함께 레이크 디스트릭트(Lake District)의 한 지역인 그래스미어(Grasmere) 호반으로 돌아와 더브 커티지(Dove Cottage)에서 살게 된다. 워즈워드는 여기서 1802년 메리 허친슨과 결혼하였다.

그녀는 학창시절의 친구이자 도로시의 친한 친구이기도 했는데, 워즈워드를 숭배에 가까울 정도로 사랑하였다. 그녀와의 사이에 세 자녀가 태어났다. 이곳 생활은 평범하기 그지없었다. 사색 및 산책· 담화· 독서· 손님접대 등 일상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시인으로서는 이 시기(1796~1806)가 '위대한 10년'이라고 불릴 만큼 중요한 시기였다. '서곡(The Prelude)' 등 그의 걸작들이 대부분 이 시기에 씌어졌다.

이 시기에 누이동생을 통해 사귄 시인 콜리지(S. T. Coleridge)는 워즈워드의 작품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두 사람은 합작 시집 '서정시집(Lyrical Ballads)'을 출판하게 된다. 워즈워드는 이 서정시집 서문에서 '시골 가난한 사람들의 스스로의 감정의 발로만이 진실된 것이며, 그들이 사용하는 소박하고 친근한 언어야말로 시에 알맞은 언어’라고 하면서, 18세기 식 기교적 시어를 배척했다. 이 서문은 18세기 식 고전주의의 종말을 고하는 ‘낭만주의 선언문’으로 간주되고 있다. 여기서 그는 기존 시의 가치개념을 부정하면서 '감정을 지닌 시', 즉 '서정시'의 기초를 수립하였다.

1805년에 완성된 자전적 서사시 '서곡'은 그의 최대 역작으로 꼽힌다. 여기서는 소년 시대로부터 대혁명 시대의 프랑스 체제에 이르는 자기의 내적 성장의 자취를 더듬고 있다. 그래서 그의 자연관 · 인생관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외에도 '마이클(Michael)', '소요(The Excursion)', '영혼불멸송 (Ode:Intimations of Immortality)' 등의 주요 작품이 있다.

이철환 객원 편집위원 mofelee@hanmail.net (전 재정경제부 금융정보분석원장,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 지지율, 2.6%p 오른 32.7% …김건희 논란 사과 긍정 영향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상승해 30%대 초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6일 발표됐다. 이재명 대표와의 영수회담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김건희 여사 논란에 대해 사과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3~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5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2.7%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65.0%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3%다. 윤 대통령이 지난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배우자 김건희 여사의 명품 가방 수수 의혹에 처음으로 사과하는 등 자세를 낮췄지만, 지지율은 2.6%p 상승하는 데 그쳤다. 부정평가는 1.7%p 하락했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32.3%포인트(p)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29.3% '잘 못함' 68.7%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1.5% '잘 못함' 65.9%였다. 40대는 '잘함' 25.6% '잘 못함' 73.2%, 50대는 '잘함' 26.9% '잘 못함' 71.8%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34.9% '잘 못함' 62.5%였고, 70대 이상에서는 '잘함'이 51.8%로 '잘 못함'(43.7%)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27.8%, '잘 못함'은 70.8%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2.6% '잘 못함' 65.9%, 대전·충청·세종 '잘함' 36.0% '잘 못함' 61.0%, 부산·울산·경남 '잘함' 40.3% '잘 못함' 58.0%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43.8% '잘 못함' 51.7%, 전남·광주·전북 '잘함' 16.0% '잘 못함' 82.2%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1.6% '잘 못함' 60.1%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28.8% '잘 못함' 68.9%, 여성은 '잘함' 36.5% '잘 못함' 61.3%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상승 배경에 대해 "취임 2주년 기자회견과 김건희 여사 의혹 사과 이후 소폭 반등 했다"면서도 "향후 채상병 및 김 여사 특검, 의대정원 문제, 민생경제 등 현안에 대해 어떻게 풀어갈지에 따라 지지율이 달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영수회담, 기자회견, 김 여사 논란 사과 등으로 지지율이 소폭 상승했다"면서도 "보여주기식 소통이 아니라 국정운영 방향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지지율은 상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2.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5-16 06:00
사진
의대 증원 항고심 결정 초읽기…정부 의료개혁 분수령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법원이 16일 정부의 2025학년도 의과대학 증원 집행정지에 대한 판단을 내릴 예정이다. 16일 보건복지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행정7부(재판장 구회근 부장판사, 배상원·최다은 고법판사)는 전공의와 교수가 정부의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정책을 멈춰달라며 제기한 집행정지 신청 항고심 결론을 16일 또는 17일 내릴 전망이다. 정부와 의료계는 법원의 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의대 정원 증원 집행정지 신청 인용 여부에 따라 2025학년 2000명 의대 증원 정책 추진 여부가 달려있기 때문이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2024.05.13 yooksa@newspim.com 이번 항고심의 쟁점은 '원고 적격성'이다. 1심은 의대 증원 처분의 직접적 상대방은 의대를 보유한 각 '대학의 장'이며 항고심을 제기한 의대생은 정부 정책에 다툴 자격이 없다며 각하 판결을 내렸다. 각하는 소송이 요건을 갖추지 못하거나 청구 내용이 판단 대상이 아닐 경우 본안을 심리하지 않고 재판을 끝내는 결정이다. 반면 2심은 '원고 적격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1심과 판단을 달리했다. 법원은 정부에 5월 중순까지 대학별 모집인원을 최종 승인하지 말라며 정부가 결정한 2025학년도 증원 규모에 대한 근거 자료를 요구했다. 정부는 지난 10일 법원의 요청에 따라 의대 증원 결정에 대한 근거 자료 47개와 2개 참고 자료를 냈다. 의대 증원을 논의한 보건의료정책심의위(보정심) 회의록, 의사인력전문위원회 회의록을 제출했다. 반면 의료현안협의체와 의대정원배정위원회는 보정심과 의사인력전문위원회와 달리 '법정 협의체'가 아니라 회의록 기록 의무가 없다. 정부는 회의 결과를 정리한 문서와 관련 보도자료를 함께 제출했다. 법원은 정부의 자료를 근거로 2025학년도 2000명 증원 규모에 대한 객관성과 절차적 정당성 여부 등을 검토한다. 정부의 바람대로 법원이 각하 혹은 기각(원고의 소에 의한 청구나 상소인의 상소에 의한 불복신청을 이유가 없다고 판단해 배척하는 판결) 결정을 내리면 2025학년도 의대 증원은 객관성을 인정받아 예정대로 추진된다. 의대 정원 증원 집행정지 신청이 인용된다면 2025학년도 2000명 증원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법원 재항고, 본안소송 등 추가 절차가 남아 있지만, 재항고 소요 기간을 감안하면 대학별 입시요강이 확정 공시되는 이달 말까지 결론이 나오긴 힘들기 때문이다. 입시 일정 또한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법원의 결론에 따른 의료계의 복귀 여부도 주목된다.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지난 15일 법원이 의대 정원 증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할 경우 진료 정상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박민수 복지부 차관은 "(인용 결정)이 않기를 희망하고 그렇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인용 결정이 나면 즉시 항고해 대법원판결을 신속히 구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4-05-16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