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외화유동성 비율 106%…권고비율 85% 훌쩍
주요국 양적완화로 글로벌 자금시장 유동성 풍부
[뉴스핌=송주오 기자] 은행권이 금융당국에서 지적한 외화유동성 리스크에 자신감을 보였다. 외환 유동성 대비를 꾸준히 해왔고 주요국의 양적완화 조치로 글로벌 시장에 자금이 충분히 공급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1월 말 기준 국내 은행권의 3개월 외화유동성 비율은 106.4%다. 지난 1월 108.1%에 비해 소폭 하락했지만 지도기준(85%)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외화유동성 비율은 외화 부채 대비 외화 자산을 나타낸 지표다. 지난 1997년 도입됐으며 외화유동성 부족으로 인한 대외지급불능 사태를 대비하기 위한 방안이다. 은행권은 이 같은 지도기준을 크게 상회하면서 외화유동성에 있어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서울 명동 KEB하나은행 딜링룸의 외환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
차환율도 금감원이 최근 정기 발표를 그만둘 정도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오히려 외화자금 수요 감소로 만기에 맞춰 상환을 하고 있을 정도다.
금감원이 지난 1월 발표한 단기 및 중장기 차환율은 각각 161.4%, 92.4%였다. 전월대비 각각 67.6%p, 3.5%p 상승했다. 차환율은 만기가 다가온 빌린 돈을 갚기 위해 새로 돈을 빌리는 비율을 말한다. 차환율이 100% 이상이면 전액만기 규모를 초과할 정도의 외화를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는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국들이 양적완화를 지속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고 있어서다. 특히 최근 EU는 양적완화 시행 기간을 내년 3월에서 같은 해 12월로 연장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월 자산매입 규모는 800억 유로에서 600억 유로로 줄였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과거 금융위기 때에는 은행이 차환을 하고 싶어도 자금을 빌려올 수 없었는데 지금은 아니다”며 “글로벌 자금이 풍부하고 외화자금에 대한 기업수요도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이 매일 점검하겠다고 밝힌 한국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가산금리) 역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CDS 프리미엄 오르면 자금조달 비용이 높아져 국내 대출 시장의 가산금리에도 영향을 미친다.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안 가결 직후인 지난 10일 새벽 뉴욕시장에서 한국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가산금리)는 42.5bp(1bp=0.01%p)로 전날과 동일했다.
이는 국내 상황을 지켜보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시각을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S&P는 “한국이 성숙한 제도 기반을 발판삼아 국정을 정상화 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국내 경제심리에 미치는 영향 역시 한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충격 흡수도 문제없다는 게 국내 금융권의 시각이다. 예상된 이벤트로 자산운용이나 자금조달 등에 이를 이미 반영했다는 것.
금융당국 관계자는 “국내 은행들이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대비해 자산 포트폴리오 등에 반영했다”며 “금리 인상이 현실화돼도 추가적인 포지션 조정은 없다는 소리도 들리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시장 지표에 이미 이런 부분들이 반영돼 있어 크게 이슈가 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변동성이 일시적인지 아닌지는 당분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상 재료는 이미 오래전 나온 얘기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송주오 기자 (juoh8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