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MSCI 편입, 중국 당국 당위론에도 분위기는 싸늘

기사입력 : 2016년06월14일 14:27

최종수정 : 2016년06월14일 14:27

호흡 길게보고 접근하면 여전히 특대형 재료

[베이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중국 A주의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 신흥지수 편입 가능성이 의문시되면서 중국증시 앞날에 먹구름을 던져주고 있다.  15일 ‘결전의 날’을 앞두고 여전히 MSCI 편입 성사 여부가 불투명한 가운데, 중국 당국은 “A주 없는 국제지수는 불안전한 것”이라며 MSCI 편입 타당성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올해 MSCI 편입이 좌절되더라도 이는 여전히 중국증시의 중기 호재로서 작용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중국 A주 없인 MSCI 국제지수 제역할 못해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자회사인 MSCI는 오는 15일 정례 회의를 열고 중국 본토 A주 증시를 MSCI 신흥시장 지수에 편입시킬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관련해 올 초만해도 시장에서는 A주 편입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우세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올해 역시 편입이 불발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월스트릿견문(華爾街見聞)은 최근 “A주의 MSCI 편입 여부 결정을 앞두고 편입 불발을 암시하는 신호들이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며 결과 발표 당일인 15일에 기자회견 대신 컨퍼런스콜만 예정돼 있는 것을 그 신호로 꼽았다.

신문은 “MSCI 편입에 성공하지 못한 작년의 상황과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다”며 “기자회견이 열리지 않는다는 것 자체로 편입 불발의 징조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셰정빈 MSCI 아시아·태평양 지역 리서치 대표가 얼마 전 “중국 증시가 MSCI 신흥지수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A주 연계 파생상품의 해외 상장에 대해 당국의 예비 심사제도가 철폐되어야 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도 불길한 징후로 받아들여졌다.

이러한 가운데 치빈(祁斌) 증감회 국제협력부 주임은 12일 열린 루자주이포럼에서 A주의 MSCI편입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의지를 다시금 확인시켰다.

치빈은 “A주의 MSCI 편입에 대해선 순리에 따르는 초연한 자세가 필요하다"면서 "늦고 빠름의 문제일 뿐 장기적으로 A주의 MSCI 편입은 반드시 이뤄진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A주 시장은 글로벌 제2대 자본시장이자 세계 최대 신흥시장, 세계에서 성장속도가 가장 빠른 시장으로 이론적으로 A주가 없는 국제지수는 불완전한 것”이라며 “A주의 MSCI 편입은 언젠가는 이뤄질 일이기 때문에 해외 투자자가 A주 투자에 뜸을 들일 필요가 없다. 시장 여건이 성숙한 후까지 기다리다가는 오히려 투자 기회를 놓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MSCI 편입은 길게 보고 접근할 장기 재료 

A주 MSCI 편입이 설령 올해 안되더라도 시간 문제라는 인식이 확대되면서 시장은 해외 기관투자자들의 A주 투자전략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성장성이 큰 블루칩 종목으로의 자금 쏠림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특히 가전과 바이주·중약재 섹터가 각광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먼저 가전은 해외자금이 가장 주목하는 섹터로 꼽힌다. 중국 증시전문매체 금융투자보(金融投資報)가 인용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적격 외국인기관투자자(QFII)가 지분을 늘린 가전업계 테마주는 쑤보얼(蘇泊爾)·메이디그룹(美的集團)·거리전기(格力電器) 등 9개로 집계됐다. 특히 쑤보얼과 메이디그룹 전체 주식 중 QFII의 지분율은 각각 9.58%, 5.52%로, 올해 1분기 말 기준 QFII 지분율이 가장 높은 상장사가 됐다.

거리전기의 QFII 지분율 또한 2015년 4분기 2.18%에서 올해 1분기 2.64%까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에 대해 시장은 해외 자금의 중국 가전업계에 대한 관심도를 엿볼 수 있다고 분석한다.

최근 상승구간에 접어든 식품 및 음료섹터 역시 MSCI 편입 성공 시 대표 수혜섹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화신증권(華鑫證券)은 “올해 5월 이후 A주의 MSCI 신흥지수 편입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고, 실제로 편입에 성공할 경우 가중평균치가 큰 섹터, 특히 가치가 저평가된 식품섹터에 호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구이저우마오타이(貴州茅臺)·우량예(五糧液)·양허구펀(洋河股份)·옌징맥주(燕京啤酒)·후이취안맥주(惠泉啤酒)·솽후이파잔(雙匯發展)·하이톈메이예(海天味業) 등 식품 및 음료섹터 9개 종목에 대한 QFII의 추가 주식 매입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QFII의 추가 매입 주식 규모를 보면, 우량예와 옌징맥주·솽후이파잔이 각각 1-3위를 차지했고, 우량예의 경우 올해 1분기 10대 유통주 주주 중 3개가 QFII인 것으로 확인됐다.

시장 전문가들은 특히 희소종목인 바이주섹터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화신증권은 “식품섹터는 외자의 중점 투자대상이 될 확률이 매우 크고, 특히 희소품종인 바이주는 외자의 ‘총애’를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신증권(中信證券)은 “구이저우마오타이나 우량예 같은 대표 바이주 업체는 제품가격 인상을 통한 실적 개선 및 밸류에이션 제고 등으로 주가 상승구간에 진입할 것이고, 퉈파이서더(沱牌舍得)· 진중쯔주(金種子酒) 등 ‘3선 바이주’ 역시 매출액과 순익 고성장 단계에 진입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 들어 중약재 테마주로의 자금이동도 두드러지고 있다. 2016년 1분기 쿠웨이트투자공사는 A주 중약재 섹터 상장사인 ST밍자오(ST明膠) 주식을 추가 매입했으며, 소시에테제네랄은 전둥제약(振東制藥)과 룽진약업(龍津藥業) 주식을 추가 매입했다.

이와 함께 화룬싼주(華潤三九)·둥아아자오(東阿阿膠)·한썬제약(漢森制藥)도 QFII의 추가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지며, 우량 중약재 테마주에 대한 외자의 기대감을 확인시켜주었다.

장강증권 등은 “중약재가 중국 의약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중의약 산업이 국민경제의 주요 산업으로 자리잡은 것 등에 힘입어 관련 테마주의 주가 상승 공간이 클 것”이라며 “중의약 소비량이 여전히 안정적으로 늘어나고, 정부의 관련 육성정책이 늘어나고 있는 것 또한 업계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스핌 Newspim] 홍우리 기자(hongwoori@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UAE,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체결…원유·무기류 관세 철폐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가 29일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체결했다. UAE는 중동 지역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남아시아를 잇는 물류 허브로, 우리 기업들이 세계 각국으로 진출을 확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양국 정상이 지켜보는 가운데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타니 빈 아흐메드 알제유디 UAE 대외무역 특임장관이 한-UAE CEPA에 정식 서명했다고 밝혔다. ◆ 무기류 수입 관세 즉시 철폐…원유 수입 관세 3%→0% 양국 CEPA는 지난해 1월 윤석열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을 계기로 본격 추진되기 시작했다. 이후 양국 정부 간 집중적인 협상을 거쳐 같은 해 10월 타결됐다. 정부는 협정문에 대한 법률 검토와 국문본 마련, 법제처 심사 등 정식 서명에 필요한 국내 절차를 진행해 왔다. UAE는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14위 교역 상대국으로 손꼽힌다. 교역 규모는 2021년 113억달러에서 2022년 195억달러, 지난해 209억달러 등으로 매해 상승하고 있다. 우리는 주로 자동차·전자기기·합성수지 등 공산품을 수출하고, UAE로부터 원유·석유제품·천연가스 등 국내 산업에 필수적인 에너지와 원료를 주로 수입한다. [서울=뉴스핌]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빈 방한 공식 환영식에서 양국 국기를 든 삼광초등학교 어린이환영단의 환호에 인사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2024.05.29 photo@newspim.com CEPA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양국은 높은 수준으로 상품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다. 시장 개방 수준은 품목수를 기준으로 한국 92.5%, UAE 91.2%다. 우리 중동 주력 수출품인 무기류는 대부분 품목이 협정문 발효 즉시 UAE 시장 내 관세가 철폐돼 수출 증대가 기대된다. 압연기·금속 주조기 등 기계류 상당수는 5년 내, 자동차·부품·가전제품 등은 발효 후 최장 10년 이내에 관세가 철폐된다. 특히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큰 전기차·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에 대한 관세도 발효 후 최장 10년 내 철폐된다. 화물·특수차 중에서는 덤프차·적재차량 등에서 상당수 즉시 철폐를 확보해 중동의 건설시장 붐에 힘입은 수출 상승이 전망된다. 이 외 의료기기·화장품 등 공산품뿐만 아니라 우리 주요 농수산물도 관세 철폐 혜택을 받게 된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이로써 UAE와 아직 CEPA를 체결하지 않은 미국과 일본, 중국 등 주요 경쟁국과 비교해 우리 기업의 수출 여건을 대폭 개선하게 됐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CEPA를 통해 원유 수입 관세도 철폐된다. 양국은 UAE산 원유 수입 관세를 발효 후 10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석유화학 제품의 주 원료인 나프타 수입 관세는 5년에 걸쳐 절반으로 감축하기로 했다. 원유 수입 관세는 3%에서 0%로, 나프타 수입 관세는 0.5%에서 0.25%로 줄어든다. 이를 통해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가격 경쟁력 제고와 국내 물가 안정 효과가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 온라인 게임 서비스 '최초 개방'…처음으로 국경 간 정보 이전 허용 UAE는 다른 나라와의 자유무역협정(FTA)에서는 개방하지 않았던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한국과의 CEPA에서 최초로 개방했다. 이를 통해 중동 지역으로 게임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공급하거나 관련 업체가 직접 현지에 진출할 때 우리 기업 활동의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됐다. 또 우리 의료 기관의 현지 개원과 원격 진료를 허용하고, 산후조리·물리치료 서비스도 개방하기로 했다. 아울러 양국은 이번 CEPA에서 ▲에너지·자원 ▲첨단산업 ▲순환경제 ▲시청각 서비스·공동제작 ▲스마트팜 ▲보건산업 ▲관광 ▲수송 ▲해상운송 ▲디지털경제·무역 ▲귀금속 ▲공급망 ▲경쟁 ▲바이오경제 등 신통상 의제를 포함한 14개 협력 분야를 명시했다. 특히 UAE는 다른 국가들과 기존에 체결한 CEPA와 달리 대체·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자원에 관한 협력을 포함했다. [서울=뉴스핌]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빈 방한 공식 환영식에서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2024.05.29 photo@newspim.com 이에 대해 산업부는 "14개 협력 분야를 명시함으로써 양국 간 미래지향적 경제 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한 포괄적인 경제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고 풀이했다. 또 양국은 CEPA를 통해 통관과 정부 조달, 디지털 무역, 지식재산권 등 양국 간 무역 과정에서 적용되는 무역 규범을 개선했다. 이를 기반으로 양국은 물품 통관에 대한 사전심사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수출기업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됐다. 또 세계무역기구(WTO) 정부 조달 협정 비가입국인 UAE와 주요 중앙정부기관의 조달 시장을 개방하고, 투명성·비차별성 원칙이 반영되도록 했다. 디지털 무역과 관련해 UAE는 자국 최초로 국경 간 정보 이전을 허용했다. 이 규정을 통해 UAE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은 현지에서 수집한 정보를 국내로 이전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높은 수준의 지재권 보호 규범을 도입해 우리 기업의 저작권·상표 침해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 조치가 가능하도록 했다. 앞으로 정부는 이날 서명된 CEPA의 후속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이른 시일 안에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양국은 CEPA 비준과 발효를 위한 자국 내 법적 절차를 완료한 후, 이를 증명하는 서면 통보를 교환하게 된다. 이후 한-UAE CEPA는 서면 통보 접수일 후 두 번째 달의 첫 번째 날에 발효된다. rang@newspim.com 2024-05-29 14:04
사진
삼성전자 노조 '창사 첫 파업' 선언...다음달 7일 '단체 연차 사용'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이 1969년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첫 파업에 나선다. 전삼노는 29일 오전 11시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의 일방적인 사측의 교섭 결렬을 이유로 즉각 파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전국삼성전자노조 조합원들이 29일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파업을 선언하고 있다. [사진=김정인 기자] 손우목 전삼노 위원장은 "노조가 여러 차례 문화행사를 진행했음에도 사측은 지난 28일 아무런 안건도 없이 교섭에 나왔다"며 "이 모든 책임은 노동자를 무시한 사측에 있다. 이 순간부터 즉각 파업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전삼노는 '일한 만큼 공정하게 지급하는 것'이 가장 큰 요구사항이라는 입장이다. 손 위원장은 "우리가 원하는 것은 임금 1~2% 인상이 아니다. 일한 만큼 공정하게 지급하라는 것"이라며 "성과금을 많이 달라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제도 개선을 통해 투명하게 지급해 달라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는 삼성전자만의 처우개선이 아닌 삼성그룹 계열사와 협력사, 한국의 노동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삼노는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버스를 이용해 24시간 농성을 이어간다. [사진=김정인 기자] 전삼노는 총파업까지 단계를 밟아나가겠다며 다음달 7일, 조합원 2만8400명의 단체 연차 사용을 통해 첫 파업을 시작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24시간 농성을 이어갈 방침이다.  삼성전자와 전삼노는 지난 1월부터 임금협상을 위한 교섭을 이어왔지만 입장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노조는 결국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 중기 결정과 조합원 찬반 투표 등을 거쳐 지난달 합법적 쟁의권을 확보했다. 이후 지난 28일 임금협상을 위한 8차 본교섭을 진행했으나 사측 인사 2명의 교섭 참여를 두고 입장차가 발생했다.  업계에서는 메모리 업턴을 기대하는 중요한 시점에서 노사 갈등 장기화로 '노조 리스크' 우려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노조 측은 "사측은 최근 10년 내내 위기라고 외치고 있다"며 "위기라는 이유만으로 노동자가 핍박받아서는 안 된다"고 했다.  kji01@newspim.com 2024-05-29 13:2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