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핌=김세혁 기자] 지난해 ‘버드맨’으로 수완을 과시했던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감독이 신작 ‘레버넌트:죽음에서 돌아온 자’로 복귀한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손을 잡은 이 작품은 미국 서부시대가 열리기 전 19세기를 배경으로 삼은 장대한 생존일기다. 아들을 잃고 죽음의 문턱에서 돌아온 사내의 처절한 복수극에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첫 아카데미 수상을 노린다.
‘레버넌트:죽음에서 돌아온 자’는 온몸을 떨게 하는 추위와 인디언들의 기습을 피해 모피를 사냥하는 거친 사내들의 이야기다. 지리도 밝고 생존방법도 남다른 휴 글래스(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모피원정대에 귀중한 존재지만 원주민 여성에게서 얻은 아들 호크가 아킬레스건이다.
영화는 호크를 지키며 제몫을 다하던 휴 글래스가 뜻하지 않게 회색곰의 공격을 받으면서 곧바로 전환을 맞는다. 온몸이 찢겨 간신히 숨만 붙은 휴 글래스는 동료들의 도움 속에 안전지대로 향하지만 시시각각 좁혀오는 인디언들의 추격 탓에 팀 전체가 위험에 빠진다.
![]() |
‘레버넌트:죽음에서 돌아온 자’는 휴 글래스를 버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영악한 모피사냥꾼 존 피츠제럴드를 통해 인간본성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피츠제럴드 역의 영국 배우 톰 하디는 인간이 어디까지 내려갈 수 있는지를 소름끼치는 연기로 이야기한다. ‘매드맥스:분노의 도로’에서 엄청난 연기를 보여줬던 톰 하디는 신작에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정면으로 충돌하며 극 전체를 이끈다.
톰 하디와 부딪히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연기야 말할 것도 없다. 아들을 잃고 생매장까지 당한 사내의 부정과 회한, 복수심 등 복합적인 감정이 장면에 따라 폭발한다. 다양한 색깔의 감정을 때와 장소에 맞춰 표출하는 레오의 연기는 정점에 다다랐다. 2시간이 훌쩍 넘는 런닝타임 전반을 지배하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톰 하디의 대결은 이 영화를 지탱하는 힘이자 객석을 빨아들이는 원동력이다.
배우들의 열연을 뒷받침하는 제작진 이야기도 빼놓을 수는 없다. 특히 선과 악의 구분마저 무의미해질 정도로 생존본능을 생생하게 그린 연출에 박수를 보낸다. 아름답다 못해 위압적이기까지 한 거대한 자연을 담아낸 엠마누엘 루베즈키의 화면도 기막히다. 루베즈키가 담아낸 자연풍광은 불꽃이 튀는 두 사내의 싸움을 일순간 티끌로 만들 정도로 거대하고 숨이 막힌다. 롱테이크 기법을 사용한 초중반 화면은 엄청난 현장감과 함께 긴장감을 끌어올린다.
![]() |
‘마지막 황제’를 통해 동양인 최초로 아카데미상을 거머쥐었던 류이치 사카모토가 OST에 참여했다는 점도 영화에 대한 관심을 높인다. 명배우, 명감독, 명 제작자가 하나가 된 이 괴물 같은 영화는 14일 극장에서 만날 수 있다.
[뉴스핌 Newspim] 김세혁 기자 (starzooboo@newspim.com)·사진=이십세기폭스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