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 비중 높아 수익 못 내…“정부의 전략적 지원 필요”
[뉴스핌=황세준 기자] 동부메탈, 심팩메탈로이, 포스하이메탈, 태경산업 등 ‘망간 알로이’ 업체들이 생존의 기로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상황은 13일 이강후 새누리당 의원 주최로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국내 소재산업 생존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통해 드러났다.
망간알로이(Mn Alloy)는 자동차, 조선, 전자 등에 사용되는 철강제품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성형성과 경량화에 필수적인 부재료다.
국내에서는 동부메탈, 심팩메탈로이, 동일산업, 태경산업, 포스하이메탈 등이 연간 90만t 규모로 망간알로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들중 포스하이메탈은 완전 자본잠식 상태고 동부메탈은 워크아웃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 기준 매출 규모는 동부메탈 4993억원, 포스하이메탈 1866억원, 태경산업 1337억원, 심팩메탈로이 1109억원 등이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심팩메탈로이 53억원, 포스하이메탈 30억원, 태경산업 30억원에 불과하다. 동부메탈은 292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해 업계 전체 영업이익율은 -0.9%다.
적자 배경으로는 경기 침체 속 전기료 인상으로 인한 극심한 원가압박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제조공정의 특성상 전력요금이 원가의 30%를 차지하는데 이는 국내 제조업의 전력요금 비중 평균인 1.4% 대비 21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전력 사용량이 철근 제조 등 등 전기로 제강공정보다 9배 많다. 망간알로이 업체들의 전기로는 t당 4200kwh의 전력을 사용하는데 제강사 전기로는 t당 사용량이 450kwh 수준이다.
지난 10년간 산업용 전기요금은 76% 인상됐다. 망간알로이 업계는 이를 제조 원가로 환산하면 경쟁력이 23% 악화됐다는 지적이다.
양승주 동부메탈 상무는 이날 업계를 대표해 준비한 ‘망간알로이 산업계 호소문’을 통해 망간알로이를 t당 1000달러에 만들어 900달러에 팔고 있는 실정이라며 인건비 등 관리 가능 비용은 원가의 15%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양 상무는 “기술개발을 통한 고급제품 수출 및 인건비, 경비 20~30% 절감을 하고 있지만 한계를 느낀다”며 “관리 불능인 전기요금 인상으로 수익성이 점차 악화되면서 업계는 도산 위기”라고 호소했다.
양 상무는 또 “해외 동종사와의 경쟁에서 차이나는 것은 오로지 전력비 부분”이라며 “원가 비중이 높다보니 경쟁력이 10~20% 열세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토론회 참석한 전문가들은 이처럼 어려움에 빠져 있는 망간알로이 업계를 정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지원하고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 |
<사진=한국철강협회> |
손일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국내 망간알로이 산업기반이 무너지면 철강, 자동차, 조선 등 국내 기간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며 “망간알로이를 국가전략품목으로 지정해 전기요금을 특례지원하는 등 산업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이 시급하다”고 주문했다.
해외 각국의 경우 '전력 다소비 업종 할인' 원칙에 따라 망간알로이 업계에 산업용 전력요금 특례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 산업 평균 대비 우크라이나는 37%, 프랑스는 53%, 호주는 59%, 일본은 30%, 말레이시아는 44% 낮은 요금을 책정하고 있다.
손 교수는 “전력비 감소로 원가 경쟁력이 확보되면 업계는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고부가가치 특수망간 제품을 개발하며 기술 협업을 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주한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혹자는 망간알로이를 수입하면 되지 않느냐고 하는데 필수 소재를 수입에 의존하면 철강, 자동차, 조선, 기계 등 산업 전반의 경쟁력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그러면서 “천일염의 경우도 경쟁력 저하로 한때 생존이 위태로웠지만 정부의 정책지원과 제조업체들의 품질제고 등 차별화를 통해 현재는 먹거리 제조에 꼭 필요한 원료로 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권오준 한국철강협회장은 송재빈 상근부회장이 대독한 인사말을 통해 “철강을 비롯한 기초소재산업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급락과 세계적인 공급과잉으로 갈수록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기업은 기술개발과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갖추고 정부는 지속적인 관심과 맞춤형 정책지원을 조화롭게 이루어 나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강후 의원은 “망간알로이는 국가 기간산업 및 수출 주력업종의 경쟁력 제고 및 고부가가치화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소재임을 감안해 연속된 전기료 인상 여파로 위기에 처한 국내업계가 생존할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