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부동산 정책

속보

더보기

′GTX-A노선′ 700억대 토지보상 착수..25일 공고

기사입력 : 2019년06월24일 15:32

최종수정 : 2019년06월24일 15:33

8월 감정평가사 선정..12월 보상금 지급 전망
올해 총 718억원 규모..“감정평가 후 최종 산정”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정부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노선의 보상작업을 위한 본격적인 절차에 착수한다.

오는 8월부터 감정평가에 들어가 실 보상금 지급은 이르면 연말 이뤄질 전망이다. 올해 예정된 보상금 규모는 718억원이다.

24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오는 25일 GTX-A노선 사업에 대한 토지보상계획을 공고한다.

GTX-A 노선도 [자료=국토부]

토지보상계획이 공고되면 2주간 이의신청을 받고 30일간 감정평가업자 추천을 받는다. 감정평가업자는 3인 이상을 지정한다. 토지소유자 1인, 지자체 1인, 사업시행자가 1인이다.

이들은 1개월간 감정평가를 하고 각자 평가한 금액을 가지고 최종 보상금을 산정하고 협의하는데 2개월이 소요된다.

이의가 없다면 소유권이전등기 절차를 거쳐 보상금을 지급하는데 15~10일 걸린다. 이의가 있으면 재결과 행정소송 절차를 거친다. 이에 따라 GTX-A노선 토지보상금은 이르면 연말부터 지급될 전망이다.

GTX-A노선은 경기 파주에서 서울 삼성역까지 46.06㎞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오는 2023년 12월 개통 목표로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착공식을 연 바 있다.

토지보상 대상 사업면적은 모두 91만5964㎡다. 수용필지는 29만8022㎡, 지하에 해당되는 구분지상권 대상 면적은 61만7942㎡다.

필지별로 수용필지는 375필지다. 경기도 295필지(28만158㎡), 서울 80필지(1만7864㎡)다. 구분지상권 필지는 2616필지로 경기도 1098필지(31만6678㎡), 서울 1518필지(30만1263㎡)다.

구분지상권은 다른 사람이 소유한 토지의 지상이나 지하의 공간 상하의 일정 범위를 정해 그 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GTX-A 사업구역 편입현황 [자료=감정원]

부동산 개발정보회사 지존에 따르면 GTX-A노선의 토지 보상금은 올해 718억원이 배정됐다. 감정원 관계자는 "아직 평가사들의 감정평가가 시작되지 않았고 각자 추천한 평가사들의 평균으로 보상금을 산정하기 때문에 아직 전체 보상금 규모를 산정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감정원은 이같은 토지보상 업무의 법무 업무를 지원할 법무사 선정에도 나선다. 법무사는 사업구간 편입 토지 등 소유권 이전, 재결·판결로 인한 보상금액 공탁 업무, 법률 자문 등을 맡는다.

실제 착공은 가능한 구간별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감정원 관계자는 "사유지의 경우 소유자의 허락이 나면 보상 전이라도 착공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syu@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