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교육시설 안전 대진단'
작년 36곳보다 재난위험시설 감소
경미 지적사항 984건 즉시 시정
![]() |
[뉴스핌=이보람 기자] 전체 교육 시설 가운데 22곳이 '재난위험시설'로 지정됐다. 정부는 구조보강 등 해소계획을 마련해 내년까지 이들 시설을 손보겠다는 방침이다.
교육부(부총리 겸 장관 이준식)는 학교 1만8000여개 학교(기관)가 참여하는 '2017년 교육부 교육시설 안전대진단'을 마무리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안전대진단은 지난 2월 15일부터 지난달 마지막날까지 진행됐다.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학생들이 사용하는 모든 건물, 해빙기 재해취약시설인 축대·옹벽, 공사장, 학교놀이시설·기숙학원 등 학교 시설 전체를 대상으로 했다.
참여 학교는 1만7918곳으로 웅벽이나 축대, 학교놀이시설 등 시설물 8만4503개에 대한 안점점검이 실시됐다. 점검에는 민간전문가 2만여 명, 공무원 8만2000여 명 등 총 15만1824명이 참여했다.
특히 재난위험시설이나 특정관리대상시설 등 취약시설은 민간전문가와 함께 민관합동 점검이 진행됐다. 학부모와 학생도 안전점검에 일부 참여했다. 전문성을 강화하고 신뢰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또 시설물 사용자 자체점검과 전문가 합동점검, 전문기관 정밀점검 의뢰 등 단계별 점검이 이뤄졌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그 결과, 재난위험시설은 전년도 35개동에서 22개동으로 전년보다 3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위험시설로 지정된 이들 22개동에 대해서는 구조보강 등 연차별로 해소계획을 수립해 내년까지 보강 또는 개축할 계획이다.
또 지적사항 총 2688건중 경미한 984건은 즉시 시정 조치가 이뤄졌다. 예산이 필요한 나머지 1704건은 가용 재원을 우선적으로 투자해 조치키로 했다.
이준식 부총리는 "학교가 가장 안전한 곳이 될 수 있도록 연 3회 주기적인 안전점검과 학교안전 원스톱 점검 및 컨설팅, 노후시설의 정밀점검 등 안전점검을 철저히 하겠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이보람 기자 (brlee19@newspim.com)